[30장] 하나님이 주신 부를 가지고 하나님께 교만하며 우상을 숭배하고 하나님의 백성들도 그들의 죄악의 공범자로 만든 애굽이 심판받을 것을 예언하는 29장에 이어 30장에서는 이제 그처럼 심판을 받아(1-19절) 멸망의 처참한 지경(20-26절)에 놓이게 될 애굽에 대한 애가를 부름으로 애굽의 멸망이 얼마나 슬프고 죄인이 받을 고통과 수치가 얼마나 큰가를 알려 줍니다. 특별히 애굽의 파멸을 '여호와의 날'로 말하고 있습니다. 에스겔은 이방에 대한 진멸을 여호와의 날이라고 함으로 당시 세상 세력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는 애굽의 파멸을 설명함으로, 하나님에서 친히 바벨론을 일으켜서 교만한 국가를 처벌하고 계심을 분명히 나타냅니다.
Q1) 애굽의 어떤 곳들에 하나님의 심판이 선포되나요(13-18절)?
Q2) 에스겔이 애굽에 임할 하나님의 심판에 대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알린 때는 언제인가요(20절)?
Q3) 하나님께서 애굽을 심판하시는 목적이 무엇이라고 반복해서 말씀하시나요(19절, 25-26절)?
[31장] 앗수르의 영광과 몰락을 애굽에게 상기시킴으로 애굽으로 하여금 자신들의 패망을 예견하도록 합니다. 앗수르는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권세와 풍요로 열국의 지배자가 되지만 그로 인해 교만해졌기 때문에 하나님으로부터 멸망을 받게 됩니다. 에스겔은 이러한 앗수르의 흥망을 통하여 바로에게 경고하며 애굽 멸망의 당위성과 필연성을 강조합니다. 앗수르의 영광을 백향목에 비유하고(1-9절), 교만으로 인한 앗수르의 멸망(10-14절)에 대해 전합니다. 그리고 앗수르의 몰락을 음부에 내려간 것으로 언급합니다(15-18절).
Q1) 에스겔은 애굽을 어느 민족과 비교하나요(3절)?
Q2) 하나님은 교만한 앗수루에 어떤 처분을 내리셨나요(11절)?
Q3) 다른 나라들에 비해 월등한 지위를 누렸던 앗수르는 결국 어느 수준까지 이르게 되나요(15-16절)?
[32장] 29-31장까지는 애굽과 애굽의 백성들이 지은 죄악과 그 죄악으로 인해 받게 될 진노의 심판을 언급하였습니다. 애굽 심판에 있어서 진노를 받아야할 세 부류, 즉 애굽 자체와 애굽 백성과 애굽 왕 중 두 부류에 대한 심판이 언급되었는데 32장은 그 세 부류 중 아직 언급되지 않은 애굽 왕에 대한 심판의 내용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32장은 애굽 및 이방 심판 예언의 최종적인 결론이라 할 수 있는데 심판의 대상을 왕과 백성으로 분리시킵니다. 애굽 왕을 향한 예언(1-16절)과 애굽 백성들을 향한 예언을 기록합니다(17-32절).
Q1) 애굽 왕 바로를 무엇에 비유하나요(2절)?
Q2) 바로가 멸망 당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12절)?
Q3) 멸망이 예고되었던 민족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23-24절, 30절 ,32절)?
2018.08.31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에스겔 36-38장 (0) | 2018.09.02 |
---|---|
[오늘말씀] 에스겔 33-35장 (0) | 2018.09.01 |
[오늘말씀] 에스겔 26-29장 (0) | 2018.08.30 |
[오늘말씀] 에스겔 23-25장 (0) | 2018.08.29 |
[오늘말씀] 에스겔 20-22장 (0) | 2018.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