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호세아 1-7장

Tip) 호세아서는 재앙이 임하기 직전인 북 이스라엘을 위해 기록되었습니다. 선지자 호세아는 정숙하지 않은 여인과 결혼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았고 자신의 삶 속에서 신실하지 못한 한나미의 백성과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생생한 예를 발견합니다. “호세아구원이라는 뜻으로 아내의 행실로 인해 겪은 개인적인 고통으로 이스라엘의 죄로 슬퍼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1] 여로보암 2세 때 북이스라엘 왕국은 최고의 번영을 이루고 있었지만 물질적 풍요 속에 백성들에게는 영적 타락이 스며들었으며 급기야는 하나님으로부터 준엄한 경고를 듣게 됩니다. 1장은 이런 배경에서 호세아 선지자의 비극적인 결혼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통하여 그들에게 최후의 경고를 주고 있는 것입니다. 호세아에게 음란한 고멜과 결혼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호세아가 순종하지만(1-9), 하나님께서 백성을 징계하시는 목적은 영원히 멸망시키기 위함이 아니라 그들로 하여금 성숙한 인격을 가지게 하여 하나님 자신과 바른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려는 데 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10-11).

Q1) 브레일의 아들 호세아에게 여호와의 말씀이 임한 때는 언제였나요(1)?

Q2) 하나님께서 호세아에게 "음란한 여자를 맞이하여 음란한 자식들을 낳으라"고 명령하신 이유는 무엇인가요(2)?

[2] 우상 숭배에 철저하게 물들어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과의 언약을 잠시 지연시키고 하나님의 징계가 임하게 하겠다는 경고(1-13)와 징계의 목적이 회개를 통한 구원과 언약의 회복에 있음을 보여 줍니다(14-23).

Q1) 음란한 고멜 같은 이스라엘에게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은 무엇인가요(2)?

Q2) 하나님꼐서 사랑하는 이스라엘의 수치를 바알(그가 사랑하는 자)의 눈앞에 드러내겠다고 하시나요(10, 13)?

Q3) 음란하여 주를 떠난 이스라엘을 하나님은 어떻게 대하시나요(14-15)?

[3] 하나님께서는 인간 역사에 개입하셔서 인간들로 하여금 멸망과 파멸의 늪에서 벗어나기를 원하셨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역사는 죄악으로 얼룩져 갑니다. 호세아의 결혼이 파국에 이르렀지만 하나님께서는 다시 고멜을 데려오라는 명령하시며(1-3), 심판 이후에 구원이 임할 것임을 예언합니다(4-5).

Q1) 고멜을 데리고 오기 위해 호세아가 치뤘던 비용은 얼마인가요(2)?

Q2) 이스라엘은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어떤 태도를 보이나요(4-5)?

[4] 하나님께서는 호세아 선지자를 통하여 이스라엘의 가증한 죄악상을 밝히시며 그로 인해 그들에게 심판이 임하게 될 것임을 예언하셨습니다. 3장까지는 호세아 개인의 불운한 결혼 생활을 통해 북왕조의 죄악을 경고하고 심판을 선언하신 내용이었지만 4장부터는 직접적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의 타락을 지적하는데 그 방법은 호세아의 설교를 통해서입니다. 호세아는 먼저 이스라엘의 종교 지도자와 평민들 모두가 하나님에 대한 지식이 없음을 지적하고(1-10), 하나님의 지식이 없음으로 인한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11-19)에 대해 지적합니다. 특히 호세아는 4장 전체를 통해 책망의 말씀과 경고를 일관성 있게 선포함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일깨워 줍니다.

Q1) 이스라엘 자손에게 결핍된 것과 만연한 것은 무엇인가요(1-2)?

Q2) 이스라엘 자손의 죄로 인해 피조물이 당할 어려움은 무엇인가요(3)?

Q3) 이스라엘이 저지른 음행은 실제로 어떤 죄를 말하나요(12-13, 17)?

[5]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없어 부패하고 교만해진 이스라엘 백성에 대해서 기록합니다. 이들은 자신들의 나라가 부강해지고 자신들이 누리고 있는 축복이 자기들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얻어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철저하게 부패된 이스라엘의 죄악상에 대해 고발하고(1-7) 자신들이 당하는 고통의 해결이 인위적으로는 될 수 없고 아울러 하나님의 심판이 도래할 것 등에 대해 예고합니다(8-15)로 구성되어 있다. 호세아 선지자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없어서 이스라엘이 고통을 당하고 있음과, 나아가서는 하나님을 바로 섬기지 못하고 있음을 교훈하고 있습니다.

Q) 죄에 빠진 결과는 어떠한가요(5-7)?

[6] 하나님께로 돌아와 관계를 회복할 것과 그들이 지은 구체적인 죄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6장을 통해 호세아는 하나님께로 돌아오면 은혜를 받을 수 있음과(1-3), 이스라엘과 유다가 언약을 어긴 죄에 대한 구체적인 죄의 항목을 지적합니다(4-11).

Q1) 호세아는 누구에게 무엇을 권유하고(1,3) 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라고 말하나요(1-3)?

Q2) 호세아가 에브라임과 유다를 보며 탄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4)?

[7] 호세아는 이스라엘 말기의 안팎으로 나타나는 혼란스러운 현상에 대해 지적합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하나님께 불순종함으로 범죄와 혼란에 빠지게 되었고, 그럴수록 그들은 인위적으로 해결책을 갈구하였습니다. 왕위 쟁탈과 노략으로 도적질이 들끓고 있는 국내의 상황(1-7), 나라의 어려움을 외세로 극복하려는 어리석음에 대해 역설합니다(8-16). 특히 7장은 정치와 종교의 상호 관계가 유기적이라는 것과 또한 이 모든 정치와 종교의 주관자가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신정일치가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 미쳐야 하는데 이스라엘 민족은 이방 신, 바알 신에 빠져 우상 숭배를 하였습니다. 더욱이 호세아 선지자가 활동기인 여로보암 2세의 아들 스가랴(B.C.753) 이후 30여 년 동안 4번의 혁명과 6번의 왕위 바뀜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는 나라 안의 혼란이 극도로 치달았습니다. 7장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Q1) 범죄한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은 무엇인가요(1)?

Q2) 이스라엘의 죄악은 어느 정도로 심각한가요(1-2)?

Q3)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무엇에 비유하나요(8,11,16)?


2018.10.01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요엘 1-3장  (0) 2018.10.03
[오늘말씀] 호세아 8-14장  (0) 2018.10.02
[오늘말씀] 다니엘 10-12장  (0) 2018.09.09
[오늘말씀] 다니엘 7-9장  (0) 2018.09.08
[오늘말씀] 다니엘 4-6장  (0) 2018.09.07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