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하박국의 이름은 “포옹하다” 또는 “포옹하는 사람”이라는뜻하는 단어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하박국서의 핵심어는 “믿음”과 정의”이고 “의인은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라는 하박국의 주제는 사도 바울과 히브리서 기자에 의해 더욱 발전되고 종교개혁과루터의 개혁 이념이기도 합니다.
[1장] 하박국 선지자가 유다의 패역함과 악인들의 득세에대하여 하나님께 항의할 때(1-4절)에 하나님은 자신이 결코악을 묵과하는 자가 아니라 죄를 심판하시는 분이며 선지자의 항의 이전에 이미 패역한 이스라엘을 심판하기 위해 심판의 도구로 갈대아를 준비해 두셨다고하심으로 자신의 공의를 나타내십니다(5-11절). 그러자하박국 선지자는 아무리 죄악을 심판하시지만 어떻게 더 큰 죄로 물들어 있는 이방 족속인 갈대아를 사용하시는 지에 대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항의합니다(12-17절).
Q1) 하박국 선지자가 하나님께 질문한 내용은 무엇이고(3절) 그 질문에 대한 하나님의 답은 무엇인가요(6절)?
Q2) 하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12-13절)?
Q3) 하나님이 바벨론을 세우신 까닭은 무엇인가요(12절)?
[2장] 하박국은 유다가 심판을 받아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이의가 없었지만 하필이면 왜 그것이 바벨론이냐 하는 것이 1장에서의 하박국의 두 번째 질문이었습니다. 하박국이 제기한 그 두 번째 물음은 2장에서 시작하고 있는 하나님의두 번째 대답에서 해결됩니더. 하나님은 반드시 악인을 심판하셔서 그의 의로움을 드러내십니다. 세상은 하나님의 영광을 인정하는 것이 가득하게 되고 온 천하는 그의 앞에서 잠잠해야 하며 의인은 하나님은 믿는믿음으로 살게 될 것입니다. 한편 하나님의 심판의 도구가 왜 하필이면 바벨론인가 하는 하박국의 질문에하나님은 바벨론 역시 죄로 인해 심판받게 되지만 그 가운데 유다도 심판 당하나 의인은 믿음으로 구원을 얻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자 하셨습니다. 이처럼 1-5절까지는 여호와의 두 번째 대답을 기록하고 이어지는 6-20절까지는 다섯 가지 재앙에 대해 말씀합니다.
Q1) 악인과 대조되는 의인의 특성은 무엇이고(4절) 바벨론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인가요(5-6절)?
Q2) 바벨론이 저지른 악행은 무엇인가요(9-10절, 12절, 15절)?
Q3) 바벨론에 대한 하나님의 평가는 무엇인가요(10절, 13절, 16-17절)?
[3장] 악인에 대한 심판과 의인에 대한 구원의 계획을알게 된 하박국 선지자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기도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세상에서 일어나는모순된 현상을 보고 회의를 가졌던 하박국이 위대한 하나님의 계획을 깨닫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이 찬양은하나님의 능력(1-7절), 하나님의 목적(8-16절), 그리고 믿음의 축복에 대한 찬양(17-19절)합니다.
Q1) 유다를 징계하고 바벨론은 심판하시겠다는 하나님의 말씀에 하박국이 간구한 두 가지는 무엇인가요(2절下)?
Q2) 바벨론을 통해 유다의 죄를 잠시 동안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궁극적인 뜻과 계획은 무엇인가요(3절)?
Q3)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 선언 앞에 하박국은 무엇을 느꼈다고 하나요(16절)?
2018.10.10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스가랴 1-7장 (0) | 2018.10.12 |
---|---|
[오늘말씀] 스바냐&학개 (0) | 2018.10.11 |
[오늘말씀] 나훔 1-3장 (0) | 2018.10.09 |
[오늘말씀] 미가4-7장 (0) | 2018.10.08 |
[오늘말씀] 미가1-3장 (0) | 2018.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