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편] 다윗은 하나님을 피난처로 알고 어려운 때에 하나님께로 피하였습니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을 피난처로 믿고 바위라고 표현합니다(1-4절). 이어 하나님께서 구원해 주실 것을 청구하는 기도를 하는 이유를 보여 줍니다(5-8절). 다윗은 자신의 늙고 쇠약한 사실과 원수들이 단결하여 자신을 대적하는 무서운 힘을 대조시키면서 하나님을 의지합니다(9-10절). 그의 원수들이 악한 목적으로 단결하여 공격할 때 시인은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고 부르짖게 됩니다(11-13절). 또한 하나님을 향하여 항상 소망을 품고 하나님을 찬송하겠다고 합니다. 그에게 있어서는 구원도 귀하지만 주님을 찬송하는 것이 더욱 귀하였기 때문입니다(14-19절). 시인은 성도가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고난을 받은 뒤에 다시 그의 살려 주시는 은혜가 올 것을 믿었습니다(20-21절) 그리고 다시 한번 하나님을 찬양하겠다고 다짐합니다(22-24절).
Q1) 시인은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묘사하나요(3절, 7절)?
Q2) 시인이 인정하는 하나님의 성품은 무엇인가요(15-16절, 19절, 22절, 24절)?
Q3) 시인은 무엇을 다짐하나요(!4-16절, 18절)?
[72편] 땅 위의 이상적 임금이 의로써 그 백성을 통치함 같이 그리스도께서는 무궁한 의를 가지시고 우리를 구원하여 주십니다(1-5절). 이상적 임금이 만민에게 만족을 주는 것과 같이, 그리스도께서는 가뭄에 단비처럼 백성을 살려 주십니다. 그는 심지어 원수들까지도 그에게로 돌아오게 하십니다(6-11절). 의로운 임금이 특별히 가난한 자와 궁핍한 차를 구원하여 주심같이 주께서는 마음이 가난한 자를 구원해 주십니다(12-14절). 주께서 그의 백성을 구원해 주시는 결과는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찬송하게 만듭니다(15-19절).
Q1) 주의 판단력과 공의로 다스려지는 나라의 내적 모습(2-4절)과 외적 영향력(9-11절)은 어느 정도인가요?
Q2) 주의 판단력과 공의를 가진 왕의 특징은 무엇인가요(12-14절)?
Q3) 그의 통치 결과로 누리는 복은 어떤 것인가요(15-17절)?
[73편] 시편 73편부터 83편까지는 '아삽의 시'입니다. 73편은 시편 제 3권의 첫 번째 시로 고난에 처해 있는 시인이 악인의 형통함을 바라보면서 어떻게 회의감을 극복하고 하나님께 대한 신뢰에로 나아가고 있는가를 잘 보여 줍니다. 73편은 일반적으로 악인의 형통과 의인의 고난이라는 주제를 다룬 '지혜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인은 악인의 형통에 대해 고민하고(1-14절) 악인과 의인의 궁극적 운명을 생각하며 신앙적 해답을 발견합니다(15-28절).
Q1) 시인의 마음 상태는 어떠한가요(2-3절)?
Q2) 시인이 깨달은 악인들의 종말은 어떠한가요(17-20절)?
Q3) 시인은 하나님에 대해 어떻게 묘사하나요(23-28절)?
[74편] 시편 74편은 애가와 같은 애처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하나님의 진노를 받아 엄청난 참상을 겪고 있는 이스라엘을 위한 탄원시로 예루살렘의 멸망과 그 중심부에 위치한 성전의 파괴를 목격한 시인의 슬픔을 묘사합니다. 그래서 저작 연대와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데 마카비 시대의 수리아의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에 의한 예루살렘 황폐 시기(B.C.168-165년)로 보는 견해와 느부갓네살 왕에 의한 예루살렘 멸망과 바벨론 포로 시기에 기록되었다는 견해(B.C.586-585년), 그리고 이집트의 시삭이 이스라엘을 침략할 때(B.C.940-915년) 쓰여졌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주의 백성이 당하는 슬픔의 호소(1-11절)에 대해 탄원하고, 그 탄원의 근거(12-17절)에 대해 기록합니다. 끝으로 하나님께서는 우주의 왕이시라는 신앙 고백에 의존해 구원을 위해 간절히 간구합니다(18-23절).
Q1) 시인은 이스라엘이 하나님께 버림 받은 상황을 어떻게 묘사하나요(1절)?
Q2) 이스라엘은 이방인에게 어떤 고통을 당하고 있나요(6-8절, 10절)?
Q3) 학대받는 자, 가난한 자 같은 이스라엘이 자신의 구원을 하나님께 구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요(20절)?
[75편] 시편 75편은 종국에 있을 악인에 대찬 심판과 의인의 영광스러움에 대한 확고한 기대를 드러낸 시입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의로운 심판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이 그가 정한 시기에 명백히 드러남으로 그의 주권이 절정에 이를 것이며(1-3절), 심판의 때에 악인은 그들의 교만으로 인해 멸망하나 의인은 영광에 다다를 것을(4-10절) 대조적으로 언급합니다.
Q1) 시인은 하나님의 어떤 모습에 감사하나요(1-2절, 7절)?
Q2) 재판장이신 하나님에 대한 시인의 반응은 무엇인가요(1절, 9절)?
2019.04.29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시편 81-85편 (0) | 2019.05.01 |
---|---|
[오늘말씀] 시편 76-80편 (0) | 2019.04.30 |
[오늘말씀] 시편 66-70편 (0) | 2019.04.28 |
[오늘말씀] 시편 61-65편 (0) | 2019.04.27 |
[오늘말씀] 시편 56-60편 (0)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