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장] 33장에서는 유다 왕국의 제14대 왕 므낫세와 그의 뒤를 이어 15대 왕이 된 아몬의 통치 행적에 대해 기록되어 있습니다. 므낫세는 히스기야의 종교 개혁과 신앙 부흥 운동의 결실을 허물어버린 장본인으로 그는 백성들을 우상 숭배에 빠뜨리는 데 선구적 역할을 합니다(1-9절). 그런데 하나님의 징계를 받아 앗수르 군대가 그를 사로잡아 바벨론으로 끌려가 환난을 당하자 므낫세는 겸비하여 회개합니다. 그의 회개를 들으신 하나님은 그를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하시고(10-13절) 므낫세는 여호와가 하나님이심을 고백하며 우상을 제거하고 여호와의 제단을 회복하며 종교개혁을 시작합니다(14-20절). 므낫세가 죽가 므낫세를 이어 왕이된 아몬은 하나님 앞에 스스로 겸손하지 않고 범죄함으로 자신의 신하에게 죽임을 당합니다(21-25절).
Q1) 므낫세의 성전에 대한 악행은 어떤 것인가요(4-5절, 7절)?
Q2)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므낫세가 보인 행동의 변화는 무엇인가요(14-16절)?
Q3) 므낫세의 뒤를 이은 아몬의 신앙은 어떠했고 그의 최후는 어떠했나요(21-24절)?
[34장] 34장에 기록된 요시야는 유다의 제 16대 왕으로 경건한 지도력에 대한 모범을 보여준 왕입니다. 역대기 기자는 열왕기와는 달리 우상 타파 정책을 율법책의 발견보다 먼저 기록합니다. 요시야는 20세가 되자 우상 숭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하는 데 남유다뿐 아니라 북이스라엘의 영토에서도 개혁을 실행합니다(1-7절). 그리고 퇴락한 하나님의 전을 수리하기 위해 준비하고 시행합하는 데(8-13절) 이 과정에서 율법책을 발견합니다. 그 책을 읽고 요시야는 자신의 옷을 찢습니다(14-21절). 율법책과 그에 대한 여선지자 훌다의 권고(22-28절)를 듣고, 발견된 율법책을 낭독하고 언약을 갱신합니다(29-33절).
Q1) 요시야는 몇 세에 왕이 되고 그는 몇 년간 예루살렘을 다스렸나요(1절)?
Q2) 서기관 사반이 율법책을 읽을 때 왕이 보인 반응은 무엇이고 왕이 그와 같은 행동을 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19절, 21절)?
Q3) 여선지자 홀다를 통해 전달된 하나님의 두 가지 계획은 무엇인가요(24-25절, 26-28절)?
[35장] 35장에서는 요사야가 “여호와의 집에서 섬기도록”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을 격려하고 지시를 내릴 뿐 아니라 유월절을 지킨 것에 대해 자세히 기록합니다. 성전 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율법책을 근거(1-6절)로 요시야는 개혁 운동에 더욱 박차를 가합니다. 그리고 종교 개혁의 절정으로 표현되는 유월절을 거룩히 지킴으로 유다 전역에 여호와 신앙을 확산시킵니다(7-19절). 유월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요시야는 자기 소유의 엄청난 수효의 희생 짐승들을 백성들에게 제공함으로 헌신의 모법을 보입니다. 그러나 애굽 왕 느고의 침입(10-19절)으로 인해 요시야는 전사하고 종교 개혁 운동이 이스라엘의 역사에 계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도중에 중단됩니다.
Q1) 요시야는 어떤 절기를 지키나요(1절)?
Q2) 유월절을 지키게 된 것이 언제 이후 처음이었나요(18절)?
Q3) 요시야의 죽음에 대한 백성들의 반응은 어떠했나요(24-25절)?
[36장] 36장은 왕국의 마지막 네 왕들의 통치에 대해 요약적으로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요시야가 죽은 후 남유다 왕과 백성은 모두 언약을 저버리게 됩니다. 요시야가 죽은 후 느고는 남유다를 지배하고 백성들에 의해 왕이 된 여호아하스를 폐위시키고 애굽으로 잡아갑니다(1-4절). 25세에 왕이 된 여호야김은 11년 동안 예루살렘을 다스리지만 하나님 보시기에 악을 행했고, 그는 바벨론으로 잡혀갑니다(5-8절). 이어 8세에 왕이 된 여호야긴도 다스리던 3개월 10일 간 여호와께 악을 행하다 바벨론으로 잡혀가고(9-10절), 그의 숙부 시드기야가 왕이됩니다. 왕이 된 시드기야도 하나님 보시기에 악을 행합니다. 시드기야는 느부갓네살을 배반하고 바벨론의 군대는 거의 2년 간 바벨론 군대에 성읍을 포위당합니다. 결국 성읍은 함락되고 성전을 파괴되며 남유다 백성 가운데 상당 수가 베벨론으로 잡혀가고(11-16절) 남유다는 멸망합니다(17-21절). 70년이 지난 후 하나님은 바사 왕 고레스의 마음을 감동시켜 조서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2-23절).
Q1) 요시야가 죽은 후 차례대로 왕위에 오른 사람은 누구이고 재임 기간은 각각 얼마인가요(2절, 5절, 9절)?
Q2) 남유다 마지막 왕 시드기야에 대한 성경의 평가는 어떠한가요(12-13절)?
Q3) 남유다가 결국 바벨론에게 완전히 패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15-16절)?
2021.05.17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에스라4-7장 (0) | 2021.05.20 |
---|---|
[오늘말씀] 에스라1-3장 (0) | 2021.05.18 |
[오늘말씀] 역대하29-32장 (0) | 2021.05.16 |
[오늘말씀] 역대하25-28장 (0) | 2021.05.15 |
[오늘말씀] 역대하17-20장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