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열왕기하13-15장

[13] 13장은 북이스라엘 예후 왕가의 후대 왕, 여호아하스와 요아스의 통치 기사와 함께 엘리사의 마지막 예언과 엘리사의 죽음에 관하여 기록됩니다. 북이스라엘은 여로보암 이후로 끊임없이 우상 숭배에만 전념하였기 때문에 하나님의 징계는 계속되었습니다. 하나님은 아람 왕 하사엘을 심판의 도구로 삼았지만 여호아하스가 하나님의 도움을 간청하자 이스라엘을 아람으로부터 구원하셨습니다(1-9). 요아스의 행적(10-13), 그리고 엘리사와 요아스(14-19) 및 엘리사의 죽음과 기적(20-21), 엘리사의 예언 성취가 각각 기록됩니다(22-25).

Q1) 범죄한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은 무엇인가요(3절)?

Q2) 죽음을 앞둔 엘리사가 요아스 왕에게 요청한 것 두 가지는 무엇인가요(17-18절)?

Q3) 하나님은 무엇 때문에 이스라엘을 향해 계속 은혜를 베푸시나요(23절)?

[14] 14장에서는 유다에 대한 말씀이 다시 기록됩니다. 전반부에는 유다 왕 아마샤가 소개되는데, 그는 정직히 행하기는 하였지만 오히려 북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요아스에게 패하고 자기 신하들에게 피살되는 불우한 최후를 맞이합니다(1-14, 17-22). 요아스의 죽음(15-16)에 이어 북이스라엘 왕 여로보암 2세에 관해 전하는데 여로보암은 매우 강성한 국력을 소유하여 영토를 크게 확장합니다(23-29).

Q1) 아마샤는 유다 왕으로 예루살렘에서 몇 년을 다스렸나요(1-2절)?

Q2) 아마샤의 제안에 요아스는 어떤 비유로 반응하나요(8-10절)?

Q3) 여로보암 2세 통치 기간, 영적 상태, 그에 대한 요나가 예언한 내용은 어떠한가요(23-25절, 28절)?

[15] 15장에는 유다 왕 웃시야(아사랴)의 재위 기간인 52년 동안에, 내부 혼란으로 인해 다섯 왕이 교체되는 이스라엘의 파란 만장한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사랴의 행적(1-7), 스가랴의 행적(8-12), 살룸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3-16). 이어 므나헴의 행적(17-22), 브가히야의 행적(23-26), 베가의 행적(27-31) 및 요담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32-38). 15장에는 유다와 이스라엘의 왕들의 통치 기간이 대조적으로 나타납니다.

Q1) 여러보암의 아들 이스라엘 왕 스가랴의 통치 기간과 그의 최후는 어떠한가요(8절, 10절)?

Q2) 므나헴은 어떻게 이스라엘의 왕이 되었고 즉위 후 딥사에서 어떤 악행을 저지르나요(14-16절)?

Q3) 이스라엘 왕 브가히야와 베가의 통치기간은 각각 얼마이고(23절, 27절) 두 왕에 대한 성경의 평가는 어떠한가요(24절, 28절)?


2023.04.26 Reading is Life!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