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편] 시편 6편은 다윗이 자신의 범죄로 인해 무기력해진 자기의 영혼을 은유법으로 표현하는 시입니다. 시편에는 7대 참회시가 있는데(6편, 32편, 38편, 51편, 102편, 130편, 143편) 시편 6편은 그 가운데 하나로 다윗이 자신의 죄를 통회하고 사죄의 확신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다윗은 하나님께 징계를 받는 중에 자신에게 임한 하나님의 진노를 거두어 주실 것을 간구합니다. 자신의 심신이 징계로 인하여 약하여 죽게 되었다며 주의 인자하심을 근거로 구원을 호소합니다. 전체적으로 다윗 자신이 죄를 슬퍼하며 고백하는 회개(1-7절)가 시의 전체를 흐르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는 소망도 담겨 있습니다(8-10절).
Q1) 다윗은 자신이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철저히 회개하고 있음을 어떻게 표현하나요(2절, 6절)?
Q2) 회개하는 자의 기도를 하나님께서 들으실 때 그의 원수들은 어떻게 되나요(8절, 10절)?
[7장] 시편 7편은 다윗이 사울에게 쫓겨 다닐 때 대적의 중상모략을 받고서 하나님께 호소한 비탄시로 자신의 결백을 하나님께 토로하는 시입니다. 다윗은 개인적인 탄식(1-2절)과 자신의 무죄를 저주의 형식을 빌어 맹세(3-5절)합니다. 따라서 자신에 대하여 하나님의 의로우신 판결을 요청(6-10절)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의에 의해서 악인의 운명이 어떠할지에 대해서 노래합니다. 다윗은 특히 시편 7편을 통해 온 세상에 대해서 의롭게 행하시는 재판장으로서의 하나님을 부각시킵니다. 다윗은 베냐민 사람의 모함을 들었을 때 그에 대하여 폭력을 행하지 않았고 오히려 자신의 억울한 심정을 절제하고 나아가 하나님께 토로하며 자신의 결백을 증거합니다. 다윗이 그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께서 자신뿐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일을 의롭게 판단하실 것이라는 사실을 확신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다윗은 자신의 행동이나 말을 통하여 자기를 해하고자 하는 원수의 공격을 막지 않고 공의로 판단하시는 하나님께 의탁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다윗은 자신을 해하고자 하는 무리들이 결국에 가서는 멸망에 빠질 것이라는 사실을 확신하고 따라서 의로운 재판장이신 하나님께 찬송과 감사를 돌릴 수 있었습니다.
Q1) 다윗은 자신이 대적에게 원한을 살만한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음을 어떤 말로 호소하나요(3-5절)?
Q2) 하나님이 구원하시는 사람과 심판하시는 사람은 각각 어떤 사람인가요(10절, 12절)?
Q3) 하나님의 심판으로 악인들은 결국 어떤 최후를 맞게 되나요(14-16절)?
[8편] 시편 8편에서 다윗은 하나님의 창조의 신비를 노래합니다.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영광을 찬양하고(1-2절) 모든 피조물들 중에 인간을 으뜸으로 지으신 하나님의 은총을 노래합니다(3-9절). 다윗은 광대한 우주 안에 드러난 하나님의 위엄과 자신의 왜소함을 직시하지만 인생 무상을 느끼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을 역사의 주인공으로 삼아 주셨음을 감사하며 찬양 드립니다.
Q1) 다윗은 지금 무엇을 보고 있고 그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절, 3절)?
Q2) 다윗이 감격하며 하나님을 찬양하는 또 한가지 이유는 무엇인가요(4-6절)?
[9편] 시편 9편은 위기에서 자기 백성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은총을 감사로 노래한 시로 다윗은 지난날 원수들의 횡포와 위기로부터의 구원만을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장차 미래에도 주어질 구원에도 미리 감사합니다. 결국 다윗은 시편 9편을 통해 하나님의 베푸신 은혜에 대해 가사하고(1-3절), 하나님의 공의의 심판(4-10절), 구원에 대한 간구(11-14절), 하나님의 기도의 응답(15-18절), 악인의 심판 간구(19-20절) 등을 노래합니다. 특히 시편 9편은 이스라엘의 승리의 영광을 모두 하나님께 돌리는 다윗의 아름다운 신앙이 나타나는 시편입니다. 결국 하나님이 인생보다 훨씬 강하심을 알고 그 하나님께 찬양하자고 백성들에게 권고하면서 인간의 교만에 대한 경고로 끝맺습니다.
Q1) 다윗이 기뻐하며 하나님을 찬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3-6절)?
Q2) 다윗은 하나님을 무엇으로 비유하나요(9절)?
Q3) 다윗이 하나님의 백성에게 요구하는 신앙 자세는 무엇인가요(11절)?
[10편] 시편 10편은 표현상 9편과 유사할 뿐 아니라 내용상으로도 매우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9편이 승리에 대한 감사의 내용이 시편 전체에서 흐른다면 시편 10편은 주로 의인의 고통에 대한 탄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님의 공의가 땅에 떨어져 짓밟히는 듯한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긴박한 탄식이 두드러져 있는 개인적 비탄시(1-11절)와 하나님의 간섭과 도우심을 확신하며 간구(12-18절)이 이어집니다.
Q1) 악인의 생각과 삶의 중심에는 무엇이 있나요(3-4절)?
Q2) 악이 사라지지 않는 세상을 바라보며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16절, 18절)?
2023.06.09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시편16-20편 (0) | 2023.06.11 |
---|---|
[오늘말씀] 시편11-15편 (0) | 2023.06.10 |
[오늘말씀] 시편1-5편 (0) | 2023.06.08 |
[오늘말씀] 욥기39-42장 (0) | 2023.06.07 |
[오늘말씀] 욥기34-38장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