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장] 14장은 유다 심판에 관한 예언 가운데 여섯 번째에 해당하는 메시지입니다. 가뭄으로 유다 백성의 고통이 심해지자 예레미야는 하나님께 중보기드를 드립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확고하게 그의 기도에 응답해 주지 않으실 뿐 아니라 도리어 유다가 멸망하게 된다고 선포하십니다. 이 기근은 거짓 선지자들의 ‘칼과 기근이 임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만을 입증한 것이기도 합니다. 현실적으로 닥친 대기근으로 진정한 구원자가 오직 하나님이심이 드러났음에도 유다는 여전히 거짓 선지자들의 달콤한 유혹에 이끌려 회개하지 않습니다(1-6절). 이에 예레미야는 하나님께 이스라엘을 구원하실 것을 간절히 구하지만 하나님은 오히려 예레미야에게 이스라엘을 위해 기도하지 말 것을 명하십니다. 그리고 그들이 드리는 금식과 소제도 받지 않으시겠다고 하십니다(7-12절). 그러자 예레미야는 지속적으로 이스라엘을 위해 기도하며 그들이 그렇게 된 것은 거짓 선지자들이 거짓평강을 전했기 때문이라며 계속 백성들을 위해 기도합니다(13-22절).
Q1) 예레미야는 유다가 칼과 기근으로 심판 받는 것이 무엇 때문이라고 하나요(10절)?
Q2) 계속된 예레미야의 간구에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말씀하시나요(11-12절)?
Q3) 하나님께서는 멸망하는 유다 백성을 보시며 어떻게 반응하시나요(17절)?
[15장] 15장에서도 하나님은 유다를 심판하시고자 하신 뜻을 철회하지 않으십니다. 이는 유다의 부패상을 더는 간과하시지 않겠다는 결심이 표현된 것입니다. 예레미야는 중보자로 나선 자신의 고통을 호소합니다. 그는 핍박자들의 위협으로 선지자의 직분을 계속 감당할 수 없다고 고백합니다. 이에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를 핍박자들로부터 보호하실 것을 약속하십니다. 예레미야의 중보 기도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으로 백성들이 네 가지의 벌을 받게 될 것을 말씀하십니다(1-9절). 예레미야가 핍박자들로 인한 극도의 고립감에 대한 탄식(10절, 15-18절) 이에 대해 하나님의 위로(11-14절, 19-21절)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Q1) 하나님께서는 유다 백성에게 어떤 심판이 임할 것이라 하시나요(1절, 3절)?
Q2) 백성들이 받게 될 네 가지 벌은 무엇인가요(3-4절)?
Q3)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에게 주신 약속의 말씀은 무엇인가요(19-20절)?
[16장] 16장에서는 심판에 관한 예언 가운데 일곱 번째에 해당되는 메시지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에게 아내를 취하지 말고, 자녀도 두지 말라고 명령하시는데 이런 예레미야 개인의 삶을 통해 유다의 멸망이 임박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는 유다가 그동안 누리던 일상적 축복을 더 이상 누릴 수 없음을 상징합니다(1-4절). 또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에게 초상집에 가서 애곡하지 말 것도 명하십니다. 하나님께서 인자와 긍휼을 거두심으로 유다가 더는 하나님의 인자와 긍휼을 받을 수 없음을 상징합니다(5-9절). 이런 하나님의 경고에도 유다백성은 오히려 하나님이 왜 자신들에게 심한 분노를 발하시는지 모르겠다고 합니다(10-13절). 예레미야는 계속해서 타락을 거듭하는 유다 민족의 반역을 목격하면서 심판의 임박성을 선포하는 동시에 궁극적인 구원의 소망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줍니다(14-21절).
Q1)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에게 하지 말라고 금하신 것 세 가지는 무엇인가요(2절, 5절, 8절)?
Q2) 예레미야가 유다 백성에게 전한 하나님의 약속은 무엇인가요(15절)?
Q3) 예레미야는 하나님을 어떻게 부르나요(19절)?
[17장] 17장에는 다시 한 번 유다의 죄와 하나님의 심판이 선포됩니다. 예레미야는 두 가지 대비를 통해 긴박한 상황에 처한 백성들이 진정으로 선택해야 할 바른길을 간접적으로 제시해 줍니다. 아울러 백성들의 도전을 당한 예레미야의 슬픈 탄원으로 하나님께 대한 하나의 실천적 교훈으로서 안식일의 성수를 촉구합니다. 포로 생활 속에서 유다가 추구해야 할 바른 길에 대해 설명하고(1-13절) 백성들의 도전으로 슬픔에 빠진 예레미야의 애가(14-18절), 그리고 참된 하나님 신뢰의 모습으로서 말씀에 입각한 삶, 안식일을 거룩하기 지킬 것에 대한 권고가 이어집니다(19-27절).
Q1)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를 통해 어떤 사람이 저주를 받게 된다고 말씀하시나요(5절)?
Q2) 예레미야는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고백하나요(12-14절, 17절)?
Q3) 하나님께서는 안식일을 지킨 자에게 어떻게 하실 것이라 말씀하시나요(24-27절)?
2023.08.12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예레미아21-23장 (0) | 2023.08.14 |
---|---|
[오늘말씀] 예레미아18-20장 (0) | 2023.08.13 |
[오늘말씀] 예레미아10-13장 (0) | 2023.08.11 |
[오늘말씀] 예레미아7-9장 (0) | 2023.08.10 |
[오늘말씀] 예레미아4-6장 (0) | 202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