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출애굽기 16-20장

[16] 애굽에서 해방된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 위하여 행진을 시작합니다. 16장부터 가나안을 향한 여정 중에 일어난 사건들이 나타납니다. 홍해를 건너 신 광야에 도착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먹을 것이 부족하게 되자 다시 모세와 하나님을 원망합니다(1-10).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메추라기와 만나를 내려서 백성들을 배불리 먹이시고(11-31) 모세로 하여금 만나를 항아리에 보관하여 후대에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대한 증거로 삼으라고 명하십니다(32-36). 만나 사건을 통해 자기 백성들의 모든 것을 감당하시고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증거됩니다.

Q1) 하나님께서 만나와 메추라기로 배 부르게 하시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하십니까(12)?

Q2) 안식일은 어떻게 할 것을 명하십니까(29)?

[17] 물과 아말렉과의 싸움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을 향한 섭리를 보여 주십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에서부터 하나님의 이적과 은혜를 수없이 체험하면서도 눈앞에 조그만 고난이 닥치자 다시 하나님을 원망합니다. 17장은 이런 간사하고 어리석은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을 잘 보여 줍니다. 신 광야를 떠나 르비딤에 장막을 친 이스라엘 백성은 마실 물이 없자 다시 모세를 원망하지만 이때도 하나님은 참으시고 모세를 통하여 반석에서 물을 내십니다. 은혜를 쉽게 잊고 전능자의 능력을 눈앞에서 목격했으면서도 여전히 하나님의 세움을 받은 지도자 모세를 원망하고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불신하는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은 여전히 사랑을 베푸십니다(1-7). 때마침 아말렉 군대와 이스라엘 사이에 전투가 일어나자 모세는 아론과 훌을 데리고 산에 올라가 하늘을 향해 손을 들자 이를 보신 하나님께서 아말렉을 물리치고 승리하게 하십니다. 그러자 르비딤에 단을 쌓고 승리하게 하신 여호와를 기념하여 여호와 닛시라 부릅니다(8-16).

Q1) 르비딤에 도착해서 물이 없자 이스라엘 백성들은 어떻게 합니까(3)?

Q2) 아멜렉과의 싸움에서 어떤 일이 일어납니까(12-13)?

[18] 모세의 장인 이드로는 이스라엘 백성이 시내 산 근방에 머물렀을 때 모세의 아내와 두 아들을 동반해서 모세를 찾아왔습니다. 이드로는 모세로부터 하나님께서 애굽인에게 하신 일들을 듣고 하나님을 찬송하며 하나님께 제사를 드립니다(1-12). 이튿날 모세의 재판 광경을 본 이드로는 겸손한 자세로 모세에게 재덕이 겸전한 자를 세워 업무를 분담할 것을 조언하자 모세는 이를 받아들여 각 지위대로 담당할 자들을 세웁니다(13-27).

Q) 모세가 백성들을 재판하는 모습을 보며 이드로는 어떻게 충고합니까(17-23)?

[19]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에서 출발한 지 꼭 3개월 만에 시내 광야에 도착하였습니다. 시내 산은 출애굽기의 나머지 장과 레위기, 민수기의 활동 배경이 되기도 합니다. 19장에서는 아브라함으로부터 시작된 언약이 마침내 이스라엘 공동체로 확대되어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직접 언약을 맺으십니다. 이스라엘이 시내 산에 이르렀을 때 하나님은 모세를 산으로 부르시고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으시겠다는 언약을 주십니다. 이 공식적인 언약은 아브라함 때부터 언급되어 왔었는데 출애굽 한 이스라엘 민족의 상황 앞에 재삼 확인시키십니다(1-13). 이에 모세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삼겠다는 언약을 받기 위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의복을 성결케 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준비케 하였습니다. (14-25).

Q1)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5-6)?

Q2) 이스라엘 백성들이 시내산에서 하나님을 만나기까지 사흘 동안 무엇을 했습니까(10-11)?

[20] 이스라엘 백성들의 삶을 이루는 중심은 율법이며, 그 가운데서도 십계명은 율법의 정신을 담고 있은 핵심입니다. 20장에서는 하나님께서 십계명을 주시는 내용과 그에 대한 백성들의 감동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십계명의 처음 네 계명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관한 율법이고(1-11) 나머지 여섯 계명은 공동체를 유지하는 사람 사이에 관한 율법입니다(12-17). 뿐만 아니라 하나님은 십계명을 근간으로 하는 여러 가지의 계명을 주십니다. 그 첫 번째로 20장에서는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에 관한 규례가 나타나고 있습니다(22-26).

Q) 하나님께서 주신 열 가지 계명을 각각 살펴봅시다.


2017.3.25 Just Reading!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