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성막 봉사자들에 대한 규례에 이어 이스라엘 진영 내의 절대 거룩을 목표로 한 각종 규례와 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이제 6장에서는 이스라엘이 선민으로서 지니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는 나실인 제도에 관한 규례와 하나님의 축복을 전하는 제사장의 축복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 중에는 처음부터 하나님에 의해 구별된 레위인 외에 특별히 거룩한 자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특별한 이유에 의해 서원함으로 일정 기간 혹은 평생 하나님께 바쳐진 나실인이었습니다. 나실인은 스스로 구별하여 부정한 것으로부터 피해야 하며(1-8절), 만일 더럽혀졌을 때는 정결 의식을 통해 다시 정결케 되었습니다(9-12절). 서원한 기간이 만료 되었을 때는 제사를 드림으로 정결 규례에서 해방되었습니다(13-21절). 마지막에는 제사장의 축복권에 대해 언급합니다(22-27절).
Q1) 나실인으로 헌신할 수 있었던 사람은 누구이고(2절) 나실인들이 지켜야 할 규례 세 가지는 무엇인가요(3-12절)?
Q2) 헌신 기간을 마친 후 나실인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13-20절)?
Q3)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축복의 내용 세 가지는 무엇이고 자기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은 무엇인가요(24-26절)?
[7장] 7장은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성막을 완성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족장을 중심으로 성막 봉헌을 위해 예물을 드린 사건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모세는 족장별로 여호와께 드릴 예물을 정하고 그것을 레위 족속에게 분배하여 성막 봉사를 위해 쓰게 하였습니다(1-11절). 그리고 열두 지파의 족장들은 매일 한 사람씩 십이 일에 걸쳐 예물을 드립니다(12-83절). 후반부에는 족장들이 바친 예물의 총계가 나타나며, 하나님께서 그들의 봉헌에 응답하시는 장면에 기록되어 있습니다(84-89절).
Q1) 게르손 자손, 무라리 자손과 달리 고핫 자손에게는 헌물이 주어지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가요(7-9절)?
Q2) 매일 한 사람씩 각 지파의 지휘관이 드린 제단의 봉헌물은 무엇이고(13-17절) 지파별 차이는 무엇인가요(13-17절과 19-23절을 비교)?
Q3) 예물을 드리기 전에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88절)?
2025.02.15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민수기3-5장 (0) | 2025.02.14 |
---|---|
[오늘말씀] 민수기1-2장 (0) | 2025.02.13 |
[오늘말씀] 레위기26-27장 (0) | 2025.02.12 |
[오늘말씀] 레위기24-25장 (0) | 2025.02.11 |
[오늘말씀] 레위기21-23장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