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열왕기하19-21장

[19] 19장은 히스기야의 통치 기간 최대의 위기와 치욕의 사건을 담고 있는 동시에 최대의 승리와 구원의 사건에 대해서도 기록합니다. 이사야의 예언(1-7) 앗수르 왕의 위협(8-13), 그리고 히스기야의 기도(14-19), 하나님의 응답(20-34) 앗수르 왕의 죽음이 이어집니다(35-37).

Q1) 랍사게의 말을 전해 들은 히스기야는 어떻게 행동하나요(1)?

Q2)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구원하지 못하리라 주장한 앗수르 왕의 근거는 무엇인가요(11-13)?

Q3) 이사야를 통해 유다 족속에게 허락하신 하나님의 약속은 무엇인가요(30-31)?

[20] 20장은 히스기야 통치의 마지막 부분으로 시간적인 순서에 있어서는 19장의 사실들보다 앞서 벌어진 사건들입니다. 히스기야 14년인 B.C.714 앗수르 산헤립의 1 유다 침입 연도와 일치합니다. 히스기야가 죽을 병에서 회복되고(1-11), 회복된 기간에 저지른 히스기야의 실수가 기록됩니다(12-15). 그리고 하나님의 징벌 예고(16-19) 히스기야의 죽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0-21).

Q1) 히스기야는 자신의 죽음에 대한 예언을 듣고 어떤 반응을 보이고(2-3) 하나님은 히스가야의 기도에 어떻게 반응하시나요(5-6)?

Q2) 히스기야가 징표를 구할 이사야가 제시한 내용은 무엇인가요(8-9)?

Q3) 이사야는 히스기야에게 어떤 심판이 있을 것이라 말했고 이에 히스기야는 어떻게 반응하나요(17-19)?

[21] 21장에서는 히스기야가 죽고 그의 아들 므낫세가 왕이 되자 상황은 급변하여 유다의 멸망이 점점 구체화됩니다. 므낫세의 우상 숭배 행위(1-9), 하나님의 심판 예고(10-15), 드리고 므낫세의 죽음(16-18), 므낫세의 뒤를 이은 아몬의 악행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9-26). 므낫세는 그의 선왕 히스기야의 종교 개혁 정책을 바꾸어 그의 조부인 아하스의 악한 정치로 돌아갔고 그의 아들 아몬도 므낫세의 타락한 행위를 본받아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을 아니라, 므낫세가 섬기던 우상을 경배하고 여호와를 버려 죄의 대가로 신복들로부터 모반을 당해 2년이라는 짧은 통치의 막을 내리게 됩니다.

Q1) 하나님께서 다윗과 솔로몬에게 약속하신 복은 무엇인가요(7-8)?

Q2)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판단하실 사용할 상징적 도구는 무엇인가요(13)?

Q3)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아몬의 삶과 신앙은 어떠했나요(20-22)?


2025.04.28 Reading is Life!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