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하나님께로 돌아와 관계를 회복할 것과 그들이 지은 구체적인 죄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6장을 통해 호세아는 하나님께로 돌아오면 은혜를 받을 수 있음과(1-3절), 이스라엘과 유다가 언약을 어긴 죄에 대한 구체적인 죄의 항목을 지적합니다(4-11절).
Q1) 호세아는 누구에게 무엇을 권유하나요(1,3절)? 또 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라고 말하나요(1-3절)?
Q2) 호세아가 에브라임과 유다를 보며 탄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4절)?
Q3) 인애가 부족한 결과 그들이 저지른 악행은 무엇인가요(7-11절)?
[7장] 호세아는 이스라엘 말기의 안팎으로 나타나는 혼란스러운 현상에 대해 지적합니다. 이스라엘 민족은 하나님께 불순종함으로 범죄와 혼란에 빠지게 되었고, 그럴수록 그들은 인위적으로 해결책을 갈구하였습니다. 왕위 쟁탈과 노략으로 도적질이 들끓고 있는 국내의 상황(1-7절), 나라의 어려움을 외세로 극복하려는 어리석음에 대해 역설합니다(8-16절). 특히 7장은 정치와 종교의 상호 관계가 유기적이라는 것과 또한 이 모든 정치와 종교의 주관자가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신정일치가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 미쳐야 하는데 이스라엘 민족은 이방 신, 바알 신에 빠져 우상 숭배를 하였습니다. 더욱이 호세아 선지자가 활동기인 여로보암 2세의 아들 스가랴(B.C.753) 이후 30여 년 동안 4번의 혁명과 6번의 왕위 바뀜이 있었는데 이 시기에는 나라 안의 혼란이 극도로 치달았습니다. 7장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쓰여졌습니다.
Q1) 범죄한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마음은 무엇인가요(1절)?
Q2) 이스라엘의 죄악은 어느 정도로 심각한가요(1-2절)?
Q3)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무엇에 비유하나요(8절,11절,16절)?
[8장] 호세아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타락한 여러 증거를 제시하면서 북왕국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배반하였다고 경고합니다(1-3절). 그들이 금이나 은으로 새긴 우상에게 절하는 죄를 범했음을 경고하고(4-7절), 더 나아가 이스라엘이 살길을 찾고자 외세의 도움을 구한 것은 더 큰 멸망의 길로 빠져드는 것이었음을 알려 주며(8-10절) 그들이 율법을 어긴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줍니다(11-14절).
Q1) 이스라엘이 원수의 공격을 받은 원인은 무엇인가요(1절)?
Q2) 이스라엘이 숭배한 우상의 최종적 운명은 무엇인가요(4,6절)?
Q3) 말씀에 대한 이스라엘의 태도는 어떠한가요(12절)?
[9장] 하나님은 자기 자신의 백성 즉 이스라엘 백성들이 언약 속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펼치기를 원하셔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번영의 축복과 안정을 누리는 은혜를 베풀어 주셨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를 감사하지 않고 오히려 하나님을 배반합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기대와 달리 오히려 이방인들의 속된 문화와 종교에 영향을 받아 하나님 없는 삶을 살게 되고 결국은 하나님도 이스라엘 백성들을 버리시고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에 저주를 내리십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땅에서 추방당하는 시련을 겪어야 했던 사실을 증거하며 장차 이스라엘이 포로 될 것(1-9절)과 포로가 되기 전 가나안 땅에서 받을 저주에 대해 예언합니다(10-17절) .
Q1) 당시 이스라엘은 무엇을 하며 기쁨을 느꼈나요(1절)?
Q2) 이스라엘이 받게 될 형벌은 무엇인가요(2-3절, 6절)? 이 형벌의 이유는 무엇인가요(1절, 7-9절)?
Q3) 옛적 이스라엘의 모습은 무엇에 비유되나요(10절상, 13절)?
Q4) 지금 이스라엘의 영적 실상은 어떠한가요(10절하, 15절)?
2017.09.23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아모스 1-3장 (0) | 2017.09.26 |
---|---|
[오늘말씀] 요엘 (0) | 2017.09.25 |
[오늘말씀] 호세아 1-5장 (0) | 2017.09.22 |
[오늘말씀] 다니엘 9-12장 (0) | 2017.09.21 |
[오늘말씀] 다니엘 5-8장 (0) | 2017.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