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출애굽기 5-8장


[5] 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로 나가 하나님께 경배하게 해 줄 것을 요구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뜻입니다(1-3). 그러나 바로는 그들의 요구를 거절하고 오히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더 큰 부역의 짐을 지게 합니다. 그러자 백성들은 모세와 아론을 원망합니다(4-21). 이에 모세는 낙심하여 하나님을 원망합니다(22-23).

Q1)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원하시는 바는 무엇인가요(1,3)?

Q2) 애굽 왕은 이스라엘에게 무엇을 원하나요(4, 7-9)?

[6] 실의와 절망에 빠진 모세는 출애굽기 522절에서 하나님께로 나아갔습니다. 6장에서는 하나님께서 하나님을 원망하는 모세에게 아브라함과의 언약을 상기시키며 희망을 주십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을 기억시키시며 이스라엘 백성을 반드시 애굽으로부터 구원하시고 약속의 땅으로 인도하실 것임을 말씀해 주시는데 이는 아브라함과 이삭, 야곱에게 계시하여 오셨던 바입니다(1-13). 그리고 모세와 아론의 족보에 대해 언급합니다(14-30). 이는 대대에 이르기까지 자기 백성을 인도하시고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보여 주기 위함입니다. 또한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언약 공동체로 부름 받은 신앙의 정체성을 알게 하려 함입니다.

Q1) 하나님께서는 출애굽 과정을 어떻게 표현하시나요(6)?

Q2) 모세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자 이스라엘 백성들은 어떻게 반응하나요(9)?

Q3) 모세와 아론의 족보를 볼 때 그들의 직계 조상은 누구인가요(!6)?

[7] 7장에서는 모세와 바로 사이의 본격적인 논쟁과 애굽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시작됩니다. 모세는 다시 바로 앞에 나아가 이스라엘의 해방을 요구합니다. 실의에 빠져 있던 상태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담대케 하심에 힘입어 다시 바로 앞에서 사명자의 용기를 발하였습니다(1-7). 그러나 강팍한 바로는 모세의 말을 듣지 않자 모세는 지팡이가 뱀이 되는 이적을 보여 줍니다. 이는 쉽게 순응치 않을 그를 내다보시고 하나님께서 사전에 부여하신 이적이었습니다(8-13). 그래도 모세의 말을 듣지 않는 바로를 향하여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애굽의 모든 물이 피로 변하는 재앙을 내리십니다(14-15).

Q1) 바로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을 때 모세와 아론의 나이는 몇 세였나요(7)?

Q2) 나일 강이 피로 변하면 결국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 말씀하시나요(18-19)?

Q3) 나일 강이 피로 변하자 바로는 어떻게 반응하나요(22-23)?

[8] 바로는 하나님 앞에서 마음이 강팍해지고 교만해져서 재앙을 보고도 모세의 요구를 듣지 않습니다. 8장에서는 애굽에 내리는 하나님의 본격적인 재앙이 기록됩니다. 두 번째 재앙 개구리 떼의 습격에도(1-15) 반응 없는 바로에게 이의 재앙이 내려집니다(16-19). 그리고 넷째 재앙인 파리 떼가 몰려오자 바로는 모세의 요구를 허락하지만 모세의 기도로 파리 떼가 물러나자 바로는 약속을 저버리고 백성들을 보내지 않습니다(20-32).

Q1) 개구리 재앙을 견디지 못한 바로는 어떻게 하나요(8)?

Q2) 바로가 요청한 개구리 재앙이 멈추는 시점은 언제인가요(10)?

Q3) 이스라엘 백성이 거주하는 고센 땅과 다른 지역의 차이는 무엇인가요(23)?


2018.03.18 Just Reading!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