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장] 본격적인 가나안 정복이 시작되면서 마지막 장애물이던 아모리 족속과 모압을 물리칩니다.아람을 정복한 이스라엘은 가나안으로 가는 길이 험하다는 이유로 하나님께 불평하다 불뱀의 심판을 받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이때도 놋 뱀을 통해 구원의 길을 열어 주십니다(1-9절). 이후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계속해서 비스가 산으로 행진하면서(10-20절) 아모리 족속을 정복하고(21-30절) 바산까지 정복합니다(31-35절).
Q1)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은 이유는 무엇이고(5-6절) 하나님의 징계를 받은 백성들은 어떤 태도를 보이나요(7절)?
Q2) 이스라엘 백성이 도착한 브엘은 어떤 곳인가요(16절)?
Q3) 이스라엘이 아모리 왕 시혼에서 뺴앗은 땅은 어떤 땅이었나요(26절)?
[22장] 22장에서 25장까지 이스라엘이 모압 평원에서 요단을 건너기에 앞서 마지막으로 시험을 받아 크게 실패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스라엘이 모압 병지에 도착했을 때, 모압 왕 발락은 발람을 통해 이스라엘을 저주하려고 합니다(1-6절). 발람은 처음에는 하나님께서 허락하지 않으심으로 거절하지만, 예물을 탐내 억지로 하나님의 허락을 얻고 발락에게로 향합니다(7-20절). 그러나 가는 길에 하나님은 나귀를 통해 발람의 탐욕을 책망하시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말씀만 전할 것을 명하십니다(21-41절) .
Q1) 모압 왕 발락이 두려워한 이유는 무엇이고(2-4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택한 것은 무엇인가요(5-6절)?
Q2) 여호와의 사자는 발람의 길을 몇 번 가로막나요(23-28절)?
Q3) 하나님은 모압 왕 발락에게 가는 발람의 길을 어떻게 평가하시나요(32절)?
[23장] 발람은 일곱 단을 쌓고 저주의 신탁을 기다리지만 하나님은 발람을 통해 오히려 이스라엘을 축복하십니다(1-12절). 이에 발락이 다른 곳으로 옮겨 다시 단을 쌓지만 이번에도 하나님은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축복하게 하십니다(13-26절). 그러자 발락은 포기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옮겨 세 번째 단을 쌓습니다(27-30절).
Q1) 발락이 발람에게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요(7절, 11절)?
Q2) 발람이 스스로 인정한 사실은 무엇인가요(23절上)?
[24장] 두 차례에 걸쳐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데 실패한 발람은 이제 다시금 두 차례에 걸쳐 이스라엘을 향해 저주합니다. 이처럼 발람을 통해 이스라엘을 저주하려는 발락의 시도는 오히려 이스라엘의 축복을 확인하며 실패합니다. 세 번째 시도도 발람이 이스라엘에 대한 축복만을 예언하자(1-9절) 발락은 분노하여 발람을 책망합니다(10-14절). 그러자 발람은 하나님이 허락하신 말씀만을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고백하고 장차 나타날 메시야에 관한 예언, 가나안 열방들의 멸망에 관한 예언을 합니다(15-25절).
Q1) 발람은 이스라엘을 무엇에 비유하며 어떻게 축복하나요(6-9절)?
Q2) 세 번째 발람의 예언을 들은 발락은 어떻게 반응하나요(10-11절)?
Q3) 발람의 마지막 예언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미래와 다른 나라와 민족의 미래는 어떻게 다른가요(17-24절)?
2018.04.08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민수기 29-32장 (0) | 2018.04.09 |
---|---|
[오늘말씀] 민수기 25-28장 (0) | 2018.04.08 |
[오늘말씀] 민수기 17-20장 (0) | 2018.04.06 |
[오늘말씀] 민수기 13-16장 (0) | 2018.04.05 |
[오늘말씀] 민수기 9-12장 (0) | 201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