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열왕기상 14-17장

[14] 14장은 분열 왕국의 초대 왕들인 북이스라엘의 여로보암과 남유다의 르호보암의 최후에 대해 기록합니다. 아히야의 경고와(1-16), 여로보암 아들의 죽음(17-18), 그리고 여로보암의 죽음과(19-20) 르호보암의 죄악(21-24), 시삭의 침입(25-28), 르호보암의 죽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9-31).

Q1) 아히야가 여로보암의 아내에게 전한 메시지는 무엇인가요(12-13)?

Q2) 남유다 르호보암 왕은 어떤 악행을 저질렀나요(23-24)?

Q3) 르호보암 왕 5년에 어떤 일이 일어났나요(25-26)?

[15] 15장에서는 남북 왕국의 2,3대 왕들이 소개됩니다. 아비얌의 유다 통치(1-8), 아사의 유다 통치(9-24), 그리고 나답의 이스라엘 통치(25- 32), 바아사의 이스라엘 통치 도입부가(33-34) 소개됩니다. 남북 왕조의 2,3대 왕들이 소개되는 전체 흐름 가운데 부각되는 것은 이 왕들의 개별적인 통치 내용보다 오히려 그들의 승계 혹은 교체 과정입니다. 그 모습에 담긴 특성이 남북 왕조사 전체의 유형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Q1) 악한 왕들의 통치 아래 있던 예루살렘에 주신 하나님의 희망은 무엇인가요(4-5)?

Q2) 아사가 왕으로 유다를 통치할 때 한 일은 무엇인가요(12-13, 15)?

Q3) 바아사는 왕이 되었을 때 여로보암의 집에 어떤 조치를 취하나요(29)?

[16] 유다 왕 아사의 재위 기간 중 북왕국에서 발생한 왕조 교체 과정이 나옵니다. 남왕국에서 아사가 왕으로 있는 동안 북왕국은 무려 3 6왕의 교체가 이루어집니다. 예후의 경고(1-4) 바아사의 죽음(5-7), 그리고 엘라의 행적(8-14) 시므리의 행적(15-20) 및 오므리의 행적(21-28), 아합의 죄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9-34). 그런데 16장에서 보여 주는 왕조 교체의 혼란상은 기본적으로 왕권의 존엄성과 권위가 경시되는 데서 비롯되었고 16장의 왕들은 대개 그 권위의 바탕으로 무력을 깔고 있었기에 그 무력의 흐름에 따라 왕권이 교체되었습니다.

Q1) 시므리는 어떻게 왕이 되고(9-10) 스스로 왕이 된 시므리의 소식에 백성들은 어떻게 반응하나요(16)?

Q2) 왕권을 다진 후 오므리가 한 가장 큰 업적은 무엇인가요(23-24)?

Q3) 벧엘 사람 히엘은 여리고를 건축하다가 어떤 일을 겪나요(34)?

[17] 17장에서 엘리야가 나오는데 열왕의 역사를 소개하는 가운데 엘리야에 대한 기록은 무려 여덟 장에 이릅니다. 엘리야의 예언(1-7) 엘리야에게 공궤한 사르밧 과부(8-16), 과부의 아들을 다시 살린 엘리야의 기적(17-24)이 기록됩니다.

Q1) 엘리야는 아합에게 무엇을 예언하나요(1)?

Q2) 사르밧 과부는 어떤 형편이었고(9, 12) 그녀가 엘리야의 말을 따르자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15-16)?

Q3) 사르밧 과부의 죽은 아들은 어떻게 다시 살아나고(19-22) 과부는 아들이 다시 살아나자 어떤 고백을 하나요(24)?


2018.05.18 Just Reading!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