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장] 유다 왕 웃시야(아사랴)의 재위 기간인 52년 동안에, 내부 혼란으로 인해 다섯 왕이 교체되는 이스라엘의 파란 만장한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사랴의 행적(1-7절), 스가랴의 행적(8-12절), 살룸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3-16절). 이어 므나헴의 행적(17-22절), 브가히야의 행적(23-26절), 베가의 행적(27-31절) 및 요담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32-38절). 15장에는 유다와 이스라엘의 왕들의 통치 기간이 대조적으로 나타납니다.
Q1) 아미샤의 뒤를 이은 유다 왕 아사랴의 통치 기간은 몇 년이며 말년에 그는 어떤 병은 무엇인가요(2절, 5절)?
Q2) 므나헴은 하나님 보시기에 어떤 사람이었나요(18절)?
Q3) 이스라엘 왕 브가히야와 베가의 통치기간은 각각 얼마이고(23절, 27절) 두 왕에 대한 성경의 평가는 어떠한가요(24절, 28절)?
[16장] 유다 왕 아하스의 통치에 대한 평가와 그의 치세하의 정치적 상황, 그리고 그의 죽음을 언급하여 악한 왕의 종말을 나타냄과 동시에 북왕국, 즉 북이스라엘 멸망의 정치적 배경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아하스의 우상 숭배 행위(1-4절), 아람과 이스라엘 동맹군의 침입(5-6절), 그리고 앗수르의 도움을 청하는 아하스(7-9절), 다메섹 우상 제단 도입(10-16절) 및 아하스의 남은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7-20절). 하나님을 떠난 아하스는 우상 앞에서 머리를 조아렸을 뿐 아니라, 앗수르 왕에게 복종하는 신복이 되어 그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기 위하여 하나님의 전을 개조하기까지 합니다.
Q1) 유다왕 아하스의 구체적 범죄는 무엇인가요(3-4절)?
Q2) 아하스 왕이 다메섹 방문 후 제사장 우리야에게 지시한 것은 무엇인가요(10-11절)?
Q3) 아하스 왕이 여호와의 성전에 추가로 조치한 것은 무엇인가요(14-15절, 17-18절)?
[17장] 17장에는 북이스라엘의 멸망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을 죄로 물들인 여로보암 이후 계속해서 파멸의 비탈길로 가던 북이스라엘은 드디어 호세아 왕을 마지막으로 앗수르에게 멸망 당합니다. 호세아 왕의 악정(1-2절), 이스라엘의 패망에 대해 기록하고(3-6절), 그 패망의 원인에 대해 설명합니다(7-18절). 이어 여로보암의 범죄 결과(19-23절), 앗수르의 이주 정책(24-26절) 및 여호와 신앙과 이교 신앙이 공존하는 것에 대해 전하며(27-33절), 이스라엘의 배교에 대해 기록합니다(34-41절). 북이스라엘 멸망의 원인은 우상 숭배 때문이었고 하나님과 맺은 굳은 언약을 버렸기 때문입니다.
Q1) 호세아는 어떤 왕이었나요(2-4절)?
Q2) 여호와 앞에서 이스라엘이 범죄했던 실상은 어떠한가요(7-12절)?
Q3) 사마리아 땅으로 이주해온 이방인들은 거주한 성읍에 무엇을 만들었고(29-31절) 그들의 신앙은 어떠했나요(32-33절)?
2018.05.25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열왕기하 22-25장 (0) | 2018.05.27 |
---|---|
[오늘말씀] 열왕기하 18-21장 (0) | 2018.05.26 |
[오늘말씀] 열왕기하 11-14장 (0) | 2018.05.24 |
[오늘말씀] 열왕기하 8-10장 (0) | 2018.05.23 |
[오늘말씀] 열왕기하 5-7장 (0) | 2018.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