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장] 18장은 분열 왕국 이후 가장 탁월한 왕으로 평가 받은 13대 왕, 히스기야의 주요 업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선왕 아하스의 유약함과 불신앙 때문에 정치적, 종교적 상황뿐 아니라 경제적 상황까지도 극도로 피폐해 있었던 유다는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기 약 6년 전, 왕위에 오른 히스기야에 의해서 부왕의 의존적 외교를 지양하고 자주적인 정책을 펼치는 등 오직 하나님만을 의존하고 모든 미신과 우상을 일소하는 아주 새로운 변혁기를 맞이합니다. 이러한 히스기야 왕의 유다 통치와 앗수르의 침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18장은 히스기야의 초기 행적(1-8절), 이스라엘의 멸망(9-12절), 그리고 앗수르의 1차 유다 침입과(13-16절), 앗수르의 2차 유다 침입(17-18절), 및 랍사게의 모욕적 언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19-37절).
Q1) 히스기야는 몇 세에 남유다의 왕이되어 몇 년간 다스렸나요(2절)?
Q2) 히스기야가 다윗의 모든 행위와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히 행한 일은 무엇이고 그 결과는 어떠했나요(4-8절)?
Q3) 랍사게의 협박과 회유에 유다 백겅은 어떤 반응을 보이나요(36절)?
[19장] 19장은 히스기야의 통치 기간 중 최대의 위기와 치욕의 사건을 담고 있는 동시에 최대의 승리와 구원의 사건에 대해 기록합니다. 이사야의 예언(1-7절) 앗수르 왕의 위협(8-13절), 그리고 히스기야의 기도(14-19절), 하나님의 응답(20-34절) 및 앗수르 왕의 죽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35-37절).
Q1) 히스기야가 이사야로부터 들은 하나님의 말씀은 무엇인가요(6-7절)?
Q2) 히스기야가 앗수르 왕으로부터 들은 말은 무엇인가요(10-13절)?
Q3) 하나님은 앗수르 왕이 장차 어떤 최후를 맞을 것이라 말씀하시나요(28절)?
[20장] 히스기야 통치 기록의 마지막 부분으로 상황이 발생한 시간적인 순서에 있어서는 19장의 사실들보다 앞서 벌어진 것들로 히스기야 14년인 B.C.714년 앗수르 왕 산헤립의 제1차 유다 침입 연도와 일치합니다. 히스기야가 죽을 병에서 회복되고(1-11절), 히스기야의 실수(12-15절), 하나님의 징벌 예고(16-19절) 및 히스기야의 죽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0-21절).
Q1) 히스기야가 병들어 죽게 되자 어떻게 기도하고(2-3절) 어떤 징표를 구하나요(8-10절)?
Q2) 바벨론의 사자가 도착했을 때 히스기야는 어떻게 행동하나요(12-13절)?
Q3) 이사야의 예언은 무엇이고 히스기야는 어떻게 받아들이나요(16-19절)?
[21장] 히스기야가 죽고 그의 아들 므낫세가 왕이 되자 상황은 급변하여 유다의 멸망이 점점 구체화됩니다. 므낫세의 우상 숭배 행위(1-9절), 하나님의 심판 예고(10-15절), 드리고 므낫세의 죽음(16-18절), 므낫세의 뒤를 이은 아몬의 악행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9-26절). 므낫세는 그의 선왕 히스기야의 종교 개혁 정책을 바꾸어 그의 조부인 아하스의 악한 정치로 돌아갔고 그의 아들 아몬도 므낫세의 타락한 행위를 본받아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을 뿐 아니라, 므낫세가 섬기던 우상을 경배하고 여호와를 버려 그 죄의 대가로 신복들로부터 모반을 당해 2년간이라는 짧은 통치의 막을 내리게 됩니다.
Q1) 므낫세는 여호와 앞에 어떤 가증한 일을 행하나요(3-7절)?
Q2) 유다 왕 므낫세에 대한 평가는 무엇인가요(11절, 16절)?
Q3) 아몬 왕은 어떻게 죽었나요(23절)?
2018.05.26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역대상 1-3장 (0) | 2018.06.18 |
---|---|
[오늘말씀] 열왕기하 22-25장 (0) | 2018.05.27 |
[오늘말씀] 열왕기하 15-17장 (0) | 2018.05.25 |
[오늘말씀] 열왕기하 11-14장 (0) | 2018.05.24 |
[오늘말씀] 열왕기하 8-10장 (0) | 2018.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