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3일 간의 금식을 마치고 죽음을 각오하고 왕 앞에 나아온 에스더가 심히 사랑스러워 보인 왕은 금 홀을 내밀고 소원을 말하라고 합니다. 그러자 에스더는 왕을 위한 잔치를 베풀었으니 하만과 함께 참석하도록 부탁합니다(1-4절). 왕이 에스더의 부탁대로 하만과 함께 잔치에 참석했고, 또 에스더의 소원을 물어 나라의 절반이라도 주겠다고 하지만 에스더는 한 번 더 왕을 위한 잔치를 베풀겠으니 하만과 함께 참석해 달라고 부탁합니다(5-8절). 하만은 왕과 단 둘이서만 왕후의 잔치에 초대받은 것을 매우 기뻐하며 아내와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아내와 친구들이 잔치에서 왕에게 모르드개를 나무에 달아 죽이기를 구하라고 주장하자, 하만은 잔치 참석 전에 나무를 구하여 뜰에다 세워 둡니다(9-14절).
Q) 왕후 에스더의 초대에 마음이 기뻤던 하만의 마음이 불쾌해졌던 이유는 무엇인가요(9절, 13절)?
[6장] 아하수에로 왕은 밤에 잠이 오지 않아 역대 일기를 읽던 중, 모르드개가 왕의 암살 음모를 고발함으로 왕의 생명을 구한 사실과 왕의 생명을 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상급을 받지 못한 사실을 알게 됩니다(1-3절). 마침 궁중에 하만이 있음을 알고 그를 불러 왕의 기뻐하는 자에게 어떤 상을 주면 좋겠느냐고 묻고, 하만은 왕의 기뻐하는 자가 자신일 것이라 착각하여 왕복과 왕관과 왕의 말을 취하게 하여 온 백성에게 알리는 것이 좋다고 대답합니다(4-9절). 이에 왕이 하만에게 명하여 모르드개를 존귀케 하여 온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라 하고 하만은 왕의 명령대로 시행한 후에 모르드개를 죽이려던 자기의 계획에 중대한 차질이 생겼음을 알고 고민에 빠집니다. 하만의 아내와 친구들은 하만이 유다 족속을 이기지 못할 것이라 걱정하였고, 이야기 도중에 왕의 내시들이 와서 하만 을 에스더 왕후의 잔치에 데리고 갑니다(10-14절).
Q) 하만이 왕의 명령대로 행한 후 자신이 당한 일을 아내와 친구들에게 말하자 그들은 어떻게 반응하나요(13절)?
[7장] 7장은 하나님을 거역하여, 그의 백성들을 괴롭혔던 불의한 자들의 비참한 최후를 보여 줍니다. 왕과 하만은 에스더가 베푼 두 번째 잔치에 참석하고 잔치 분위기가 무르익어 갈 무렵 왕은 에스더에게 나라의 절반이라도 줄테니 소원을 말하라고 하자(1-2절) 에스더는 자신과 자기 민족의 생명을 구해 달하는 소원을 말하며 자신이 유대인임을 밝히고 유대인 멸절 계획의 주동자는 하만임을 고합니다(3-5절). 그러자 하만은 심히 두려워하고(6절) 사건 경위를 들은 왕은 노하여 후원으로 나가 버렸고, 하만은 왕후 에스더의 앉은 걸상 위에 엎드려서 생명을 구해 주기를 부탁합니다. 이때 다시 잔치 자리로 돌아온 왕이 이 광경을 보고 하만이 에스더를 강간하려 하는 것으로 오해하여 왕의 진노가 더욱 증폭되고, 결국 하만은 모르드개를 달아 죽이려고 세워 누었던 나무에 자기 자신이 달려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7-10절).
Q) 하만이 맞게 되는 최후는 어떠한가요(8-10절)?
[8장] 왕은 처형당한 하만의 모든 재산을 에스더에게 주었고, 하만이 가졌던 직위를 모르드개에 주어 모르드개가 제국 내의 2인자의 위치에 올라서게 됩니다(1-2절). 한편 하만의 죽음에도 유대인을 멸절시키라는 왕의 조서는 여전히 효력이 있었기 때문에 유대인들의 안전은 큰 위협을 받고 있어 에스더는 다시 한 번 왕에게 유대인을 멸절시키라는 내용의 조서를 취소해 줄 것을 부탁했고, 왕은 에스더의 부탁을 들어줍니다(3-8절). 이로써 유대인의 대적들을 살육하라는 왕의 도장이 찍힌 조서가 제국의 모든 지방에 반포되어 유대인들은 모든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 됩니다(9-14절). 모르드개는 고급 관리의 복장인 푸르고 흰옷을 입고 금 면류관을 썼고, 모르드개의 임직을 많은 백성들이 기뻐합니다(15-17절).
Q) 새로이 내려진 조서의 구체적 내용은 무엇이고(11-12절) 이 조서는 어느 지역, 누구에게 반포되나요(13-14절)?
[9장] 유대인들을 살육하기로 작정되었던 12월 13일에 오히려 유대인의 대적들이 살육당하게 되고 모르드개의 권력은 점점 굳건해집니다(1-4절). 유대인들은 수산 성에서 5백 명의 대적을 죽이고 하만의 아들들도 죽지만 재산은 탈취하지 않고(5-10절) 왕이 에스더에게 다시 소원을 묻자, 에스더는 대적을 살육하는 날을 하루만 더 연장해 주기를 간구합니다(11-16절). 그 후 유대인들은 14일에 잔치로 기념하고, 수산 성의 유대인들은 살육의 기간을 하루 연장 받았기 때문에 15일에 잔치로 기념합니다(17-19절). 에스더와 모르드개는 이날을 부림일로 지키게 하고 책에 기록합니다(20-32절).
Q) 유다인들은 대적을 어떻게 진멸했나요(5-10절)?
[10장] 아하수에로 왕의 권세는 여전히 막강하여 각 지방들과 모든 섬들로부터 조공을 받게 됩니다. 그 외에도 왕의 수차에 걸친 성공적인 군사 원정과 모르드개에게 권력을 부여한 역사적 사실들이 왕들의 일기에 기록되었다는 것과 모르드개가 존경 받는 이였다고 기록합니다(1-3절).
2018.05.13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욥기 6-10장 (0) | 2018.07.15 |
---|---|
[오늘말씀] 욥기 1-5장 (0) | 2018.07.14 |
[오늘말씀] 에스더 1-4장 (0) | 2018.07.12 |
[오늘말씀] 느헤미야 11-13장 (0) | 2018.07.11 |
[오늘말씀] 느헤미야 8-10장 (0) | 2018.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