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장] 느헤미야는 예루살렘 성벽이 재건된 후 예루살렘에 거한 자들의 명단과 그 외곽 지역에 거한 자들의 명단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포로 기간에도 하나님의 은혜로 그 손이 끊어지지 않고 있다가 하나님의 약속대로 예루살렘으로 다시 거하게 되는 복들 받게 되었음을 증거합니다. 당시 예루살렘의 거주자가 너무 적었기 때문에 인구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었습니다. 예루살렘 성벽의 둘레는 꽤 넓었기 때문에 유사시 방어를 위해서는 적정 인원이 거주해야만 했기 때문에 자원하는 자들과 제비 뽑힌 자들이 예루살렘에 거주하게 되었습니다(1-2절). 예루살렘 거주민 중 대표적인 자들의 명단이 유다 지파와 베냐민 지파와 레위 사람들을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3-24절). 이어 예루살렘이 아닌 다른 주요 거주지에 거하는 사람들의 명단도 소개됩니다(25-36절).
Q1) 황폐한 예루살렘에 거주하기로 자원한 자는 누구이고(1절) 이들을 위해 백성들은 무엇을 했나요(2절)?
Q2) 유다 자손의 일부가 장막을 쳐서 거주했던 지역은 어디인가요(30절)?
[12장] 예루살렘으로 귀향한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명단이 기록되었습니다. 예루살렘의 인구 재정착 사업이 끝난 후 이제는 종교 제도의 재정비 사업을 시도합니다.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가계를 조사했는데, 먼저 스룹바벨과 함께 1차 귀환한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의 명단이 기록되고(1-11절), 다음으로 예수아의 아들 요아김 당시의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의 명단이 기록됩니다(12-26절). 이 일 후 드디어 성곽 봉헌식을 드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예루살렘으로 모여들었고 악기로 찬양하며 성곽을 따라서 행진하면서 마음으로 기뻐합니다(27-43절). 그리고 제사 장들과 레위인들의 생활 보장을 위하여 십일조 제도 등을 확립합니다(44-47절).
Q1) 예루살렘 성벽 봉헌식은 어떻게 준비하나요(27절)?
Q2) 예루살렘 성벽 봉헌을 위해 무엇을 정결하게 하나요(30절)?
[13장] 느헤미야는 바사를 다녀와서 유다 사회에 존재하는 반율법적인 행태들을 개혁하였습니다. 13장에서는 느헤미야를 중심으로 진행된 재개혁 운동에 관해 기록합니다. 느헤미야는 모세의 율법책을 낭송하고 모압과 암몬 사람들을 축출시킵니다(1-3절). 엘리아십 제사장이 암몬 사람 도비야와 교제하고 성전의 골방에서 거주하도록 한 범죄 사실을 뒤늦게 안 느헤미야는 도비야를 내쫓습니다(4-9절). 백성들이 십일조를 온전히 드리지 않자 제사장들과 레위인들도 생계 유지를 위해 성전을 떠나자 느헤미야가 이들을 다시 불러모으고 백성들이 십일조를 철저히 드리도록 권면합니다(10-14절). 그리고 안식일이 거룩하게 지켜지도록 힘쓰고(15-22절) 이방인들과의 혼인을 징책하고 회개를 촉구하였습니다(23-31절).
Q1)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에 없는 동안 엘리아십이 행한 잘못은 무엇인가요(4-5절)?
Q2) 레위 사람들이 직무를 버리고 각자 자신의 밭으로 간 이유는 무엇인가요(10절)?
Q3) 느헤미야는 이방 여인과 결혼한 유다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나요(25절, 28절)?
2018.07.11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에스더 5-10장 (0) | 2018.07.13 |
---|---|
[오늘말씀] 에스더 1-4장 (0) | 2018.07.12 |
[오늘말씀] 느헤미야 8-10장 (0) | 2018.07.10 |
[오늘말씀] 느헤미야 4-7장 (0) | 2018.07.09 |
[오늘말씀] 느헤미야 1-3장 (0) | 2018.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