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장] 바벨론의 멸망은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들을 위하여 일하시는 분임을 확인시키는 사건으로 하나님께는 이스라엘을 자신의 백성으로 택하십니다. 이것은 이방 나라들이 이스라엘을 섬기는 것으로 바뀌게 될 것임을 예견하는 것입니다(1-2절). 여기에는 강대국이었던 바벨론의 멸망이 그 증거가 되는데 바벨론에 남아 있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능력을 힘입고 강대국을 조롱하게 될 것이며, 바벨론은 메대에 의해 영원한 멸망을 당하는 비참한 존재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3-23절). 이후 하나님의 심판 도구로 사용되었던 앗수르와 블레셋도 결국은 하나님의 심판을 당하는 나라가 됩니다(24-32절).
Q1)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에게 안식을 주시는 날에 어떤 노래를 지어 부르라고 하시나요(3-5절)?
Q2) 호언장담하던 바벨론 왕의 최후는 어떻게 되나요(12절, 15절, 19-20절)?
[15장] 13장부터 23장까지는 이스라엘 주변 국가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내용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서 13-14장은 바벨론에 대한 심판을 기록하고 있고, 그 뒤를 잇는 15장과 16장은 모압에게 임할 심판의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15장은 모압에게 임할 하나님의 철저한 심판을 명확하게 선포합니다. 모압인들은 그들 성읍의 최후를 보면서 슬퍼합니다(1-4절). 또한 모압인들은 앗수르의 침략을 받아 남쪽 에돔으로 피난힙니다. 니므림의 물은 마르고 살아남은 자들도 사자에게 쫓기듯이 죽음의 공포에서 헤어날 줄을 모르고 또한 모압의 군인들도 그들의 성읍을 지킬 수 없음을 한탄합니다(5-9절).
Q1) 하나님이 모압을 향해 무엇이라 경고하시나요(1-4절)?
Q2) 모압의 도성들이 패망하자 백성들을 어떻게 하나요(5-9절上)?
[16장] 16장에는 모압의 멸망과 비교되어 이스라엘을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납니다. 모압의 여인들은 새처럼 두려워하며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쉴 곳과 도움을 구합니다(1-5절). 이사야는 모압이 당하는 고통이 자신들의 교만 때문이라고 합니다. 모압 백성들은 앗수르 군대 앞에 자신들의 무력함을 깨닫고 그들의 이웃인 이스라엘을 통해서 하나님께로 돌아가야 했지만 그들은 그것을 거부했습니다. 이사야는 그들의 교만으로 인하여 그들의 땅에는 소출이 없을 것이라고 합니다(6-12절). 모압은 이미 많은 파괴를 경험했지만 하나님께로 돌아오지 않는 한 끝내 멸망 당할 것임을 다시금 선포하는 것입니다(13-14절).
Q) 모압이 과도하게 자랑하며 의지하는 것을 향해 하나님은 어떤 심판을 내리시나요(8절下, 10절)?
[17장] 17장의 경고는 아람의 수도인 다메섹을 향한 것입니다. 북왕국 이스라엘은 앗수르의 공격에 대비해서 아람과 연합했는데 여기서 이사야는 아람과 이스라엘이 앗수르에 의해서 패망할 것이라고 합니다. 다메섹 근처의 버려진 도시에서 동물들이 폐허 속에 집을 만들 것이고 이스라엘도 앗수르의 침략에 의해서 살찐 몸이 파리해지듯이 두려움을 당하게 된다고 했습니다. 결국 하나님의 심판은 다메섹을 폐허의 도시로 만듭니다(1-11절). 소동하는 나라는 바다에서 파도가 뛰어 놀듯이 크게 소동할 것이고 그 백성들은 앗수르 사람들인데 하나님께서 그들을 하나님의 백성들을 징벌하는 데 사용하셨지만, 마침내 그들도 멸망시키실 것입니다(12-14절).
Q)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징계(4-5절)를 받는 근본적 이유는 무엇인가요(10절)?
[18장] 18장은 구스 땅에게 주는 메시지입니다. 구스인들이 빠른 갈대 배에 사자들을 보내어 앗수르에 대항해 연합하자고 이스라엘에게 요청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구스 사람으로 하여금 연맹을 체결하지 않기를 권고하는데 하나님께서 적절한 시기에 적을 물리쳐 주실 것이기 때문입니다(1-3절). 하나님의 계획은 여름의 일광 같고 가을의 이슬같이 오래 머무니 앗수르의 멸망 기한도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이르고 있는 것입니다. 앗수르의 멸망 후 구스인들은 하나님의 이름이 머무는 시온 산에서 하나님의 선물을 받게 됩니다(4-7절).
Q) 이사야는 앗수르의 남진을 막고자 유다에 도움을 청하러 온 구스 사절단에게 무엇이라고 하나요(2절)?
[19장] 이스라엘의 많은 사람들은 애굽이 앗수르의 위협에 대해서 보호해 줄 것을 바라고 있었지만 이사야는 애굽 역시 하나님의 심판을 받음으로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는 애굽에 대해서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것이라는 사실을 상세히 묘사합니다. 애굽에 임하는 하나님의 심판은 자연을 황폐화시키며 어떠한 애굽의 지혜로운 자라도 그 나라의 백성들을 구할 수 없음을 지적합니다(1-15절). 결국 애굽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되고, 하나님의 참된 뜻을 이해하며 나아가 하나님의 구원을 받는 백성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16-25절).
Q1) 하나님이 애굽의 자랑인 나일강과 그 주변의 풍요로운 땅을 어떻게 하겠다고 하시나요(5-10절)?
Q2) "그날"에 애굽에서 일어날 놀라운 일들은 무엇인가요(16-19절)?
2018.07.25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이사야 25-29장 (0) | 2018.07.27 |
---|---|
[오늘말씀] 이사야 20-24장 (0) | 2018.07.26 |
[오늘말씀] 이사야 9-13장 (0) | 2018.07.24 |
[오늘말씀] 이사야 5-8장 (0) | 2018.07.23 |
[오늘말씀] 이사야 1-4장 (0) | 2018.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