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편] 다윗은 먼저 하나님의 은혜를 간절히 사모하며(1-2절) 그 은혜를 통한 성결한 삶을 결심하고(3-4절) 나아가 이스라엘을 의롭게 다스릴 것을 다짐합니다(5-8절).
Q1) 다윗은 자신의 눈으로 무엇을 주목하며 무엇을 살피겠다고 하나요(2절, 6절)?
Q2) 다윗은 무엇을 보지 않고, 어떤 자를 용납하지 않겠다고 하나요(3절, 5절, 7절)?
[102편] 저작 연대를 대체로 포로 시기로 잡고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시인이 민족적인 비극의 날에 자신의 고통과 민족의 아픔을 하나님께 하소연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시인은 결코 절망에만 사로잡혀 있지 않습니다. 그가 부르짖는 기도의 내용은 예루살렘의 회복을 간절히 소원하고 확신하면서 드리는 믿음의 기도입니다. 무엇보다 시인의 하나님의 긍휼의 때를 기다리면서 영광 중에 나실 하나님의 임재를 묵상합니다. 시인이 처한 곤고한 상황(1-11절), 하나님께서 계시는 도성인 예루살렘의 회복에 대한 신념(12-22절)과 그것을 이루어 주실 하나님의 영원한 보호와 인도하심을 강력히 드러냅니다(23-28절).
Q1) 시인은 자신의 고통이 어디서부터 온 것이라 말하나요(10절)?
Q2) 시인이 여호와께서 대해 확신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13절)?
Q3) 시인은 하나님을 어떤 분이라고 고백하나요(25-27절)?
[103편] 다윗의 찬양시로 하나님의 인자하심과 그분의 능력 있는 통치 그리고 인간의 죄에 대한 고백과 찬양 등이 나타나 있습니다. 먼저 하나님에 대한 찬양을 권면하고(1-2절) 찬양을 통해 나타나는 개인적 축복(3-5절)과 민족적인 축복(6-19절)이 나타납니다. 더 나아가 다윗은 하나님에 대한 찬양을 인간에게만 국한시키지 않고 천군과 천사에게로 확대시킵니다(20-22절).
Q1) 시인은 어떤 자세로 여호와를 송축하겠다고 다짐하나요(1절)?
Q2) 다윗은 인생과 영화를 무엇에 비유하나요(15-16절)?
Q3) 여호와의 인자하심은 인생의 영화와 비교할 때 어떻게 다른가요(17-18절)?
[104편]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능력과 은혜를 높이는 시로 창세기 1장의 기사와 평행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시는 창조주 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찬양하는 내용으로 꾸며져 있지만 창조 사역을 정확히 기록했다기 보다는 세상의 대자연을 보고서 하나님의 창조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묵상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모습(1-4절)에 이어 땅과 바다를 창조하시고(5-9절) 사람과 짐승을 기르시며(10-18절) 자연을 지배하시며(19-24절) 바다와 동물을 다스리시고(25-26절) 생명을 지배하시는 하나님(27-30절)에 찬양합니다. 이것은 시인이 찬양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31-35절).
Q1) 시인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하신 일을 어떻게 묘사하나요(2-5절)?
Q2) 하나님께서 사람을 위해 하신 일은 무엇인가요(14-15절)?
Q3) 시인이 하나님 앞에서 결단하고 바라는 바는 무엇인가요(33-34절)?
[105편] 시편 105편은 끝 부분이 할렐루야로 끝나기 때문에 할렐루야시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전체 내용은 언약을 성실히 지키시는 하나님에 대한 찬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엇보다 하나님에 대한 감사(1-7절)를 먼저 하면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의 조상들과 언약을 맺었고(8-15) 요셉을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 땅으로 인도하셨다고 합니다(16-23절). 다시 모세를 통하여 출애굽을 하게 하셨으며(24-38절) 광야에서 맺은 하나님의 언약(39-45절)에 대해 서술합니다.
Q1) 시인이 자랑하는 것과 강력하게 요청한 내용은 무엇인가요(3-6절)?
Q2) 시인은 종으로 팔린 요셉의 일생을 어떻게 표현하나요(17-22절)?
Q3) 이스라엘 백성에게 넘치도록 많은 은혜와 사랑을 주신 목적은 무엇인가요(45절)?
[106편] 시편 106편은 이스라엘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하나님의 은혜보다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패역한 행위를 기록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합니다. 이스라엘의 불순종에 대한 참회와 이에 따른 하나님의 구원을 대비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시와 마찬가지로 먼저 하나님께 대한 감사와 그분의 은혜를 갈구합니다(1-5절). 이에 따르는 기사는 홍해를 땅같이 건너도록 역사하시고 광야에서 인도하시는 하나님의 능력을 찬양하는 것입니다(6-33절). 그리고 가나안에 정착한 후에도 악을 일삼는 그들에게 징계와 긍휼이 함께 임한다고 합니다(34-48절).
Q1) 시인은 자신들의 모습에 대해 어떻게 고백하나요(6절)?
Q2) 반복되는 죄로 인해 백성의 영혼은 어떤 상태가 되었나요(15절)?
Q3) 시편 기자는 백성이 부르짖을 때 하나님께서 어떻게 반응하신다고 하나요(44-45절)?
2019.05.05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열왕기상 4-7장 (0) | 2019.05.08 |
---|---|
[오늘말씀] 열왕기상 1-3장 (0) | 2019.05.07 |
[오늘말씀] 시편 90-94편 (0) | 2019.05.03 |
[오늘말씀] 시편 86-89편 (0) | 2019.05.02 |
[오늘말씀] 시편 81-85편 (0) | 2019.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