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편] 시편 86편은 제 3권(73-89편)에 수록된 시 중 유일한 다윗의 시로 고난 중에 드리는 기도입니다. 개인의 고난에서 비롯된 '호소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고, 시편의 내용과 표현 양식 즉 기도와 찬양과 감사 등이 다윗의 생애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다윗은 언제 붙잡혀 죽게 될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에서 자신의 절박한 심정을 토로하고 있는 동시에 절망적인 상황 가운데서도 소망을 잃지 않는 '하나님 중심주의'의 신앙을 나타냅니다. 고난 중의 부르짖음(1-7절), 주의 권능 찬양(8-13절), 위협으로부터 구원을 호소(14-17절)합니다. 다윗의 시편이 고라 자손의 시집(시84-88편) 중에 삽입된 이유는 고라 자손의 시도 다윗의 시와 마찬가지로 권위를 가진다는 사실을 묘사하기 위함입니다.
Q1) 하나님께서는 부르짖는 장게 어떻게 반응하시나요(5절下)?
Q2) 다윗은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고백하나요(5절上, 8절, 10절)?
Q3) 다윗이 전심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2-13절)?
[87편] 하나님 나라에 대한 예언의 노래로, 장차 신약 시대에 태동될 교회의 모습을 상징하는 예루살렘의 영광과 기쁨에 관한 내용입니다. 시온에 대한 찬양(1-2절), 모든 민족의 시온에로의 가입(3-6절), 시온에서의 기쁨을 노래(7절)합니다. 그러므로 시편 87편은 바벨론 포로 이후에 지어진 노래로 고라 자손에 의해 저술, 보존되었던 작품입니다.
Q1) 하나님의 성, 시온이 영광스러운 이유는 무엇인가요(2-3절)?
Q2) 시온에서 났다고 여겨지는 민족과 대상은 누구인가요(4-6절)?
[88편] 88편은 고통 중에 드리는 믿음의 기도에 대해 노래합니다. 표제에 시편 88편의 저자는 에스라인 헤만이라고 합니다. 고라 자손 중, 헤만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고라 자손들의 찬양대를 인도한 지휘자였습니다.(참조, 대상6:33,대상37-대상39). 또 '마할랏르안놋'이란 말은 '질병' 또는 '병자를 위하여 연주할 것'이란 의미로 시편 88편의 내용이 어떠한 성격인지를 잘 규정해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분류법에 따라 '개인적인 애가'로 분류 합니다. 끊임없는 간구(1-2절), 직면한 죽음의 위기에 대한 탄식(3-9절), 응답지 않는 하나님을 향한 항변(10-18절)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Q1) 고난 중에 있는 시인은 자신이 당한 고난을 어떻게 표현하나요(3-8절)?
Q2) 시편 기자가 처한 상황은 한마디로 무엇과 같다고 할 수 있나요(10-13절)?
Q3) 시편 기자를 가장 절망하게 만든 고난은 무엇인가요(18절)?
[89편] 89편은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을 노래한 것으로, 다윗과 맺는 하나님의 언약이 그분의 인자와 성실을 바탕으로 하여 영원히 지속될 것을 확신하며 찬양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시편 89편에서 가장 두드러진 사상은 한마디로 하나님 나라의 견고성과 영원성입니다.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주셨던 약속은, 다윗에게 주신 나라가 영원히 존속할 것이라는 것으로 이는 곧 하나님의 나라입니다. 신실하신 하나님(1-4절), 언약 주체의 속성(5-18절), 다윗과의 언약 내용(19-37절), 언약 이행 촉구(46-52절)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Q1) 시편의 기자는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묘사하나요(7-8절)?
Q2) 즐겁게 소리칠 줄 아는 백성에게 주어질 복은 무엇인가요(15절)?
2019.05.02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시편 101-106편 (0) | 2019.05.05 |
---|---|
[오늘말씀] 시편 90-94편 (0) | 2019.05.03 |
[오늘말씀] 시편 81-85편 (0) | 2019.05.01 |
[오늘말씀] 시편 76-80편 (0) | 2019.04.30 |
[오늘말씀] 시편 71-75편 (0) | 2019.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