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열왕기하 16-18장

[16장] 유다 왕 아하스의 통치에 대한 평가와 그의 치세하에서의 정치적 상황, 그리고 그의 죽음을 언급하여 악한 왕의 종말에 대해 말씀함과 동시에 북왕국, 즉 북이스라엘 멸망의 정치적 배경에 대해 전합니다. 아하스의 우상 숭배 행위(1-4), 아람과 이스라엘 동맹군의 침입(5-6), 그리고 앗수르의 도움을 청하는 아하스(7-9), 다메섹의 우상 제단을 도입(10-16)한 일과 아하스의 남은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7-20). 하나님을 떠난 아하스는 우상 앞에서 머리를 조아렸을 뿐 아니라, 앗수르 왕에게 복종하는 신복이 되어 그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기 위하여 하나님의 전을 개조하기까지 합니다.

Q1) 아람과 이스라엘 연합군의 침공에 대한 아사흐의 조치는 무엇인가요(7-9절)?

Q2) 아하스 왕이 다메섹 방문 후 제사장 우리야에게 지시한 것은 무엇인가요(10-11절)?

Q3) 아하스 왕이 여호와의 성전에 추가로 조치한 것은 무엇인가요(14-15절, 17-18절)?

[17장] 이스라엘을 죄로 물들인 여로보암 이후 계속해서 파멸의 비탈길로 가던 북이스라엘은 드디어 호세아 왕을 마지막으로 앗수르에게 멸망 당합니다. 호세아 왕의 악정(1-2), 이스라엘의 패망(3-6), 이스라엘이 패망하게 된 원인에 대한 말씀이 이어집니다(7-18). 이어 여로보암의 범죄 결과(19-23), 앗수르의 이주 정책(24-26) 및 여호와 신앙과 이교 신앙이 공존하는 것에 대해 전하며(27-33), 이스라엘의 배교에 대해 기록합니다(34-41). 북이스라엘 멸망의 원인은 우상 숭배 때문이었고 하나님과 맺은 굳은 언약을 버렸기 때문입니다.

Q1) 호세아는 어떤 왕이었다고 성경은 증거하고(2-4절) 호세아의 반역을 발견한 앗수르 왕 살만에셀은 호세아와 이스라엘에 어떤 일을 행하나요(3-6절)?

Q2)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노략꾼 손에 넘기셔서 그 땅에서 쫓아내신 이유는 무엇인가요(19-21절)?

Q3) 사마리아 땅으로 이주해온 이방인들은 거주한 성읍에 무엇을 만들었고(29-31절) 그들의 신앙은 어떠했나요(32-33절)?

[18] 18장부터 마지막 장까지는 유다가 멸망하는 역사에 대한 이야기로 분열 왕국 이후 가장 탁월한 왕으로 평가 받은 13대 왕, 히스기야의 주요 업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선왕 아하스의 유약함과 불신앙 때문에 정치적, 종교적 상황뿐 아니라 경제적 상황까지도 극도로 피폐해 있었던 유다는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기 약 6년 전, 왕위에 오른 히스기야에 의해서 자주적인 정책을 펼치고 오직 하나님만을 의존하고 모든 미신과 우상을 일시에 제거하는 새로운 변혁기를 맞이합니다. 이러한 히스기야 왕의 유다 통치와 앗수르의 침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18장은 히스기야의 초기 행적(1-8), 이스라엘의 멸망(9-12), 그리고 앗수르의 1차 유다 침입과(13-16), 앗수르의 2차 유다 침입(17-18), 및 랍사게의 모욕적 언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19-37).

Q1) 히스기야는 몇 세에 남유다의 왕이되어 몇 년간 다스렸나요(2절)?

Q2) 앗수르 왕이 유다를 공격해 왔을 때 히스기야의 반응은 어떠한가요(14-16절)?

Q3) 앗수르 왕의 신하 랍사게가 유다 백성에게 한 누구의 말을 믿지 말라(29-31절)는 협박과 회유에 대한 유다 백성의 반응은 무엇인가요(36절)?


2019.05.19 Reading is Life!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