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장] 요담의 뒤를 이은 아하스는 유다의 가장 악한 왕이었습니다. 아하스는 금송아지와 바아르몰록을 섬기며 성전을 폐쇄하고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금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산당을 건립하는 등의 죄를 범합니다(1-4절). 아람과 이스라엘 동맹군의 침입을 받자(5-6절), 정치적으로는 이사야 선지자의 권고를 무시하고 앗수를 의지합니다(7-9절). 그리고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을 만나러 갔다가 그곳의 제단을 보고 다메섹의 우상 제단을 도입합니다(10-16절). 그리고 여호와 성전의 기구를 더럽히는 등의 악을 행합니다(17-20절). 하나님을 떠난 아하스는 우상 앞에서 머리를 조아렸을 뿐 아니라, 앗수르 왕에게 복종하는 신복이 되어 그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기 위하여 하나님의 전을 개조하기까지 했습니다.
Q1) 아하스는 어떻게 행하였다고 하나요(2-3절)?
Q2) 아하스 왕이 다메섹 방문 후 제사장 우리야에게 지시한 것은 무엇인가요(10-11절)?
Q3) 아하스 왕이 여호와의 성전에 추가로 조치한 것은 무엇인가요(14-15절, 17-18절)?
[17장] 여로보암 이후 계속해서 파멸의 길로 가던 북이스라엘은 호세아 왕을 마지막으로 앗수르에게 멸망 당합니다. 호세아 왕은 하나님 보시기에 악을 행하였고(1-2절), 결국 이스라엘은 패망을 맞게 됩니다(3-6절). 이스라엘이 패망하게 된 원인은 하나님께 범죄하고, 하나님을 배역하여 산당을 세우고, 하나님의 언약을 버리며 악을 행하여 하나님께서 심ㅂ히 노하셨기 때문입니다(7-18절). 이어 여로보암의 범죄 결과(19-23절), 앗수르의 이주 정책(24-26절) 및 여호와 신앙과 이교 신앙이 공존하는 것에 대해 전하며(27-33절), 이스라엘의 배교에 대해 기록합니다(34-41절). 북이스라엘 멸망의 원인은 우상 숭배 때문이었고 하나님과 맺은 굳은 언약을 버렸기 때문입니다.
Q1) 호세아는 어떤 왕이었다고 성경은 증거하고 있나요(2-4절)?
Q2)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노략꾼 손에 넘기셔서 그 땅에서 쫓아내신 이유는 무엇인가요(19-21절)?
Q3) 사마리아 땅으로 이주해온 이방인들은 거주한 성읍에 무엇을 만들었고(29-31절) 그들의 신앙은 어떠했나요(32-33절)?
[18장] 18장부터 242장까지는 유다가 멸망하는 역사에 대한 이야기가 기록되면서 동시에 분열 왕국 이후 가장 탁월한 왕으로 평가 받은 13대 왕, 히스기야의 주요 업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아하스의 불신앙 때문에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상황이 극도로 피폐해 있었던 유다는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기 약 6년 전, 왕위에 오른 히스기야에 의해서 자주적인 정책을 펼칩니다. 그리고 오직 하나님만을 의존하고 모든 미신과 우상을 일시에 제거하는 새로운 변혁기를 맞이합니다. 이러한 히스기야 왕의 유다 통치와 앗수르의 침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18장은 우상을 제거하고 하나님께서 주시는 계명을 힘써 지키는 히스기야의 초기 행적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8절). 히스기야 왕 제 4년에 이스라엘의 멸망하게 되는 데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9-12절). 그리고 히스기야 왕 제 14년에 앗수르의 1차 유다 침입(13-16절), 앗수르의 2차 유다 침입(17-18절) 및 랍사게의 모욕적 언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19-37절).
Q1) 히스기야는 몇 세에 남유다의 왕이되어 몇 년간 다스렸나요(2절)?
Q2) 철군하지 않고 계속 예루살렘을 공략하는 앗수르 왕의 신하 랍사게는 히스기야에게 어떤 말을 하나요(19-20절)?
Q3) 앗수르 왕의 신하 랍사게가 유다 백성에게 한 누구의 말을 믿지 말라(29-31절)는 협박과 회유에 대한 유다 백성의 반응은 무엇인가요(36절)?
2020.04/27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열왕기하 22-25장 (0) | 2020.04.29 |
---|---|
[오늘말씀] 열왕기하 19-21장 (0) | 2020.04.28 |
[오늘말씀] 열왕기하 13-15장 (0) | 2020.04.26 |
[오늘말씀] 열왕기하 10-12장 (0) | 2020.04.25 |
[오늘말씀] 열왕기하 7-9장 (0) | 202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