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예레미야애가 1-5장

Tip) “애가(哀歌)”라는 말은 헬라어의 “크게 소리 높여 운다”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히브리 성경의 제목은 ‘어찌하여…’라는 비통의 감정을 의미하는 단어 ‘에캬(다모)’입니다. 예레미야애가는 한 도시의 장례식을 묘사합니다. 그리고 본문에 한 번도 이름이 언급되지 않지만 전통적으로 예레미야가 이 책을 저술했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슬픔에 가득한 다섯 개의 시 (1)예루살렘의 파괴 (2)여호와의 분노 (3) 자비를 구하는 기도 (4) 예루살렘의 포위 (5) 회복을 구하는 기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1장은 예루살렘의 파괴에 대한 묘사(1-11), 예루살렘의 도움 요청(12-22)에 대한 기록입니다. 바벨론의 말발굽 아래 짓밟힌 예루살렘의 참상에 목을 놓아 탄식하며 여호와의 자비를 구합니다. 예루살렘의 현재 닥친 파멸의 참담함을 고통스럽게 지켜 보면서 느끼는 아픔과, 민족적 회개를 기대하는 열망을 시적 형태로 애절하게 표현합니다. 백성의 한 사람으로서 북받치는 슬픔을 느끼고 있는 예레미야 자신의 애가(1-11)와 예루살렘 성을 의인화시켜 슬픔을 노래합니다(12-22).

Q1) 예레미야는 예루살렘의 현재 상태와 모습을 어떻게 표현하나요(1-4절)?

Q2) 의인화된 예루살렘은 하나님께 무엇을 간구하나요(9절, 11절)?

Q3) 예루살렘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원수들에게 어떻게 행하시기를 간구하나요(21-22절)?

[2] 2장은 하나님의 징벌을 받아 허망하게 파괴되는 예루살렘의 참담함이 묘사되면서 예루살렘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 강조됩니다. 이스라엘의 심판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이 시적인 형태로 제시됩니다. 하나님의 진노의 철저함을 강조하는 표현들이 자주 나오는데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묘사하고(1-12) 예루살렘의 탄원을 묘사합니다(13-22).

Q1) 유다의 제단, 성벽, 백성은 누가  쇠하게 했나요(7-8절)?

Q2) 예레미야는 지나가는 자들이 예루살렘을 어떻게 평가한다고 하나요(15절)?

Q3) 예레미야는 멸망전 처참한 예루살렘을 향해 무엇을 촉구하나요(18-19절)?

[3] 3장에는 선지자가 한 개인으로서 탄원과 고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자신을 이스라엘 백성과 동일시함으로 이스라엘의 처한 상황을 극대화합니다. 예레미야 자신의 고통(1-18), 은혜에 대한 소망과 위로(19-39), 회개를 권고하는 부분(40-51),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에 대한 체험을 기록합니다(52-57). 그리고 자기를 적대했던 자들에 대한 복수를 원한다고 고백합니다(58-66).

Q1) 여호와께 진노를 당한 이는 누구인가요(1절)?

Q2) 화와 복을 주관하시는 분은 누구인가요(37-38절)?

Q3) 예레미야가 하나님께서 구하는 것은 무엇인가요(64-66절)?

[4] 4장에서 예레미야는 영광스러웠던 지난 날과 참담한 현실을 대조해 상황이 역적된 원인을 찾으려 합니다. 먼저 현재 이스라엘 백성들의 고통을 보다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는데, 특히 예레미야는 여러 고통들 중에서 극심한 기근 현상을 부각시킵니다. 그리고 재난의 책임이 정치적, 종교적 지도자들에게 있음을 지적하는데 이러한 사실은 예루살렘의 구원과 안전은 오직 하나님께 달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교적 노력에 의해 난국을 타개하려는 지도자들의 불신에 대한 신랄한 책망입니다. 예루살렘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적으로 서술하고(1-10), 종교 지도자들의 죄를 지적합니다(11-16). 그리고 예루살렘의 헛된 소망과 그에 따른 수치스러운 상황에 대해 묘사합니다(17-22).

Q1) 백성의 죄는 얼마나 심각했나요(6절)?

Q2)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형벌 중 무엇을 바라보았나요(17절)

Q3)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나라의 힘은 어느 정도였나요(18-19절)?

[5] 5장에서는 애가가 마무리하며 예레미야는 유다의 참상을 다시 한 번 열거합니다.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자신의 슬픔을 애절하게 묘사하지만 단지 감정적 슬픔에 함몰되어 본질을 망각하지 않고, 중간 중간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를 드러냄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다룹니다. 예레미야는 소망 없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한 회복과 구원을 간절히 기도합니다.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전적인 신뢰가 나타나는데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들과의 언약 관계를 상기시키는 '기업', '열조', '옛적' 등의 표현이 자주 나타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현재 상태를 재차 언급하고(1-18), 하나님의 영원하신 능력(19-22)에 대해 기록합니다.

Q1) 예레미야는 하나님께 무엇을 간구하나요(1절)?

Q2) 예레미야가 하나님께 고백한 내용은 무엇인가요(19절)?

Q3)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을 위해 간절히 구하는 핵심 메시지는 무엇인가요(21절)?


2020.08.25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에스겔4-6장  (0) 2020.08.27
[오늘말씀] 에스겔1-3장  (0) 2020.08.26
[오늘말씀] 예레미야 51-52장  (0) 2020.08.24
[오늘말씀] 예레미야 49-50장  (0) 2020.08.23
[오늘말씀] 예레미야 45-48장  (0) 2020.08.22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