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베드로전후서는 베드로가 실루아노(실라)의 도움을 받아 기록했습니다(벧전5:12). 베드로는 신앙 때문에 박해 받는 그리스도인들을 위로하며 하늘의 기업을 상속 받을 자라는 사실을 일깨워주며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살 것을 격려하는 편지를 썼습니다.
[1장] 1장에는 베드로가 흩어져 있는 성도들에게 앞으로 닥치게 될 믿음의 시련을 지혜롭게 극복하도록 격려하는 내용입니다. 베드로는 먼저 문안 인사를 한 후 하나님을 찬송하고 복음을 선포합니다. 미래의 구원의 소망은 현재의 고난과 시련을 능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고난은 믿음을 정금같이 단련시켜서 미래의 구원을 확실하게 붙잡으라고 권면합니다(1-12절). 믿음과 소망 중에 거하는 성도들은 개인적인 정욕을 좇지 말고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하며(13-16절)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외모가 아닌 삶의 열매로 판단하신다는 사실과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하셨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성도들은 거룩한 삶을 살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합니다(17-21절). 그리고 구원받은 성도들은 피차 뜨겁게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함을 말합니다(22-25절).
Q1) 베드로는 이 편지를 누구에게 썼나요(1-2절)?
Q2) 성도들이 고난 중에도 영광서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8-9절)?
Q3) 베드로는 구원 받은 이의 삶이 어떠해야 한다고 하나요(15절)?
[2장] 2장의 전반부는 성화된 삶을 실현하는 방법상의 문제에 대해 전합니다(1-12절). 그리고 1장에 이어 하나님의 말씀으로 중생한 성도들이 그의 백성으로서 실천해야 할 의무에 관해 계속적으로 권면합니다. 성도들이 거룩한 삶을 살아서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까지 자랄 것을 권면합니다(1-3절). 성도들은 택하신 족속이요 왕 같은 제사장으로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살아야 하며(4-10절) 성도들은 나그네와 같은 존재들이므로 육체의 정욕을 제어하고 선행을 행하기를 힘써야 한다고 합니다(11-12절). 그리고 그리스도인은 천국 시민이지만 지상적인 삶의 질서를 부정해서는 안 되며(13-17절) 사환들은 주인에게 순복해야 하고 애매하게 고난 받는 자들도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의 자취를 바라보면서 인내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오직 선을 행함으로 고난을 참는 모습은 하나님 앞에서 아름답다는 사실을 전합니다(18-25절).
Q1) 베드로는 성도들이 해야 할 바가 무엇이라고 하나요(5절)?
Q2) 베드로는 사회 제도와 권력자들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라고 하나요(13-17절)?
Q3) 범사에 순종하되 어떤 자들에게까지 순종해야 하나요(18절)?
[3장] 3장에서는 2장에 이어 순복에 대한 주제를 계속해서 다룹니다. 베드로는 하나님의 자녀들인 성도들의 삶과 의무들이 가정에서나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거치는 존재가 되지 말아야 함을 강조합니다(1-12절). 이어서 베드로는 그리스도의 이름을 위하여 고난 받는 자들의 소망에 대해 다시 강조하고(13-17절) 그리스도께서 영으로 옥에 있는 영들에게 전파하신 사건을 언급하고 세례의 참 뜻이 전인격의 변화임을 강조합니다(18-22절).
Q1) 베드로는 아내와 남편과의 관계에서 각각 무엇을 명하나요(1-4절, 7절)?
Q2) 베드로는 성도들이 서로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하나요(8절)?
Q3) 의와 선을 행할 때 받는 고난의 특징은 무엇인가요(14절, 17절)?
2020.12.19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베드로후서 1-3장 (0) | 2020.12.21 |
---|---|
[오늘말씀] 베드로전서 4-5장 (0) | 2020.12.20 |
[오늘말씀] 야고보서 3-5장 (0) | 2020.12.18 |
[오늘말씀] 야고보서 1-2장 (0) | 2020.12.17 |
[오늘말씀] 히브리서10-13장 (0) | 202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