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전도서는 핵심 등장인물인 “전도자”를 따라 그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칠십인역에서 “전도자”에 해당하는 단어는 “에클레시아스테스”인데 이 책의 영어 제목, Ecclesiastes는 대부분 여기에서 유래했습니다. 전도서의 저자는 자신을 ‘다윗의 아들’(1:1)이며 ‘이스라엘의 왕’(1:12)이라 소개하고 행적이 1장 12절, 2장 26절에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 어울리는 사람은 솔로몬 뿐입니다.
[1장] 1장은 전도서의 서론으로 전도서의 기자는 자신의 신분을 먼저 밝히며 만물이 헛되다는 전도서의 주제를 제시합니다(1-3절). 이 고백은 결코 염세주의적 고백이 아니라 인생의 허무함을 통해 참된 창조주 하나님을 드러내고, 인생들로 하여금 그에게 의지할 것을 교훈하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자연들도 무상하며 해 아래 아무것도 새로운 것이 없음을 말합니다(4-11절). 더 나아가 인류 역사상 최고의 지혜를 자랑하던 솔로몬은 인간의 지혜조차도 헛된 것이라고 고백합니다(12-18절).
Q1) 전도서는 누가 기록했고 그의 첫 외침은 무엇인가요(1-2절)?
Q2) 마음을 다하여 지혜를 써 연구하고 살핀 것은 무엇인가요(12-13절)?
Q3) 지혜와 지식이 많으면어떠하다고 하나요(18절)?
[2장] 2장에서 전도자는 쾌락을 즐겨보았고 부귀도 누려보았지만 그런 것들이 허무한 마음을 채워주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허무함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소개합니다. 특히 이 교훈들은 솔로몬의 삶의 체험으로부터 나온 것들입니다. 사람은 즐거움을 얻기 위해 술을 통해 쾌락을 구하거나 정욕을 통해 쾌락을 구하고 자신을 위해 부를 쌓고 큰 집과 많은 노비들, 보석들을 사들이며 마음껏 즐기면서 살아가지만 모든 것은 헛되며 결국엔 허무함만 가져다 줄 뿐이라 합니다(1-11절). 또한 남들보다 뛰어난 지혜를 지닌 자라도 인생의 모든 것을 알 수 없으며 죽음 앞에서는 다 똑같은 존재라 고백합니다(12-17절). 그러므로 일평생 애쓰고 노력한 모든 것이 헛될 뿐이고(18-23절) 결국 사람의 참된 행복은 심령에서 나며 이 모든 것은 하나님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니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자만이 소망을 가질 것이라 고백합니다(24-26절).
Q1) 전도자가 스스로 여러 가지를 시험해 본 결과는 어떠했다고 하나요(1-4절)?
Q2) 전도자는 지혜가 우매함보다 뛰어남이 어떤 것과 같다고 하나요(13절)?
Q3) 사람의 마음을 진정 기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24절)?
[3장] 3장에서 전도자는 범사에 기한이 있고 모든 목적이 이루어질 때가 있음을 역설합니다. 전도자는 일반적인 원리를 통해 인생의 허무함을 설명하는데 특히 인생의 현상들을 하나님의 섭리와 비교하여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를 강조합니다. 이 세상에는 모든 것에 정해진 때가 있기 때문에 태어나고 죽는 것, 심고 거두는 것, 만나고 헤어지는 모든 현상들은 사람의 계획과 노력으로 되지 않습니다(1-10절). 왜냐하면 모든 것을 지으시고 이루시는 것은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경외하게 하기 위함입니다(11-15절). 그러므로 모든 인생은 각기 행한 대로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이고 사람은 각기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사는 것만이 축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합니다(16-22절).
Q1) 하나님의 선물은 무엇인가요(13절)?
Q2) 이 세상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그 결과는 어떤가요(16-17절)?
Q3) 오늘에 주어진 자기의 일을 즐거워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22절)?
[4장] 4장에서 전도자는 자신의 허무함을 부추긴 것은 세상에 만연한 억울한 사연들과 부조리였다고합니다. 1-3절은 ‘해 아래서’로 시작해서 ‘해 아래서’라는 말로 끝내며 이 세상에서 행해지는 악에 대해 탄식합니다. 세상에는 권세 있는 자가 설치고 힘없는 자는 억울함을 당해도 하소연할 수도 없고 열심히 노력하는 자보다 남을 속이는 자가 더 큰 이익을 얻으니 참된 만족과 평안은 어디에도 없습니다(1-6절). 또한 아무리 많은 부를 가졌어도 후손이 없으므로 희망이 없는 사람이 있고, 참된 우정을 나눌 친구를 발견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행복할 수 없고 반드시 성공하는 사람과 실패하는 사람이 생기며 날 때부터 권력과 부귀를 보장받은 자가 있는 반면에 어떤 사람은 피지배자로 태어나고 권력을 잡은 자라도 영원하지 않고 뒤에 오는 권력자에 의해 배척을 받게 됩니다(7-16절). 이로써 인간사의 모든 것이 허무하며 참된 만족을 얻을 수 없다고 선언합니다.
Q1) 전도자는 세상 권세의 어떤 면을 보고 탄식하나요(1절)?
Q2) 전도자는 세상 권력과 명예의 어떤 면을 탄식하나요(13-16절)?
2021.07.16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전도서9-12장 (0) | 2021.07.18 |
---|---|
[오늘말씀] 전도서5-8장 (0) | 2021.07.17 |
[오늘말씀] 잠언28-31장 (0) | 2021.07.15 |
[오늘말씀] 잠언25-27장 (0) | 2021.07.14 |
[오늘말씀] 잠언22-24장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