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사무엘하19-21장

[19] 19장에서는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환궁하고 뒷수습을 하는 과정이 소개됩니다. 반란을 진압한 요압은 다윗이 압살롬으로 인해 슬픔에 빠진 것을 보고 기운을 회복하여 민심을 수습하도록 권고합니다(1-8). 이에 이스라엘 온 지파들도 다윗을 맞이하기로 합의하고 유다 지파가 앞장서 길갈로 나아가 다윗을 맞이합니다(9-15). 한편 다윗이 도망갈 때 그를 조롱하며 저주하였던 시므이는 목숨이 위험하게 되자 다윗에게 사죄하였고 다윗은 그를 용서합니다. 또한 므비보셋은 그의 종 시바의 간계를 고함으로 다윗의 오해를 풉니다(16-30). 마지막으로 마하나임에서 다윗을 공궤1하던 길르앗 사람 바실래와 작별한 다윗은 길갈로 돌아오지만 아직까지 이스라엘과 유다 백성 사이의 깊은 감정은 풀리지 않고 여전히 남아 있었습니다(31-43).

Q1) 압살롬의 죽음을 슬퍼하는 다윗에게 요압은 무엇이라고 하나요(5-7절)?

Q2) 다윗이 유다 백성들에게 요구한 것은 무엇이고 그들은 어떻게 반응하나요(11-13절)?

Q3) 다윗을 맞이하러 나온 바르실래는 어떤 사람이고(31-32절) 다윗의 호의에 반응하는 바르실래의 모습은 어떠한가요(34-37절)?

[20] 20장의 세바의 반란은 19 41-45절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분열 및 갈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다윗의 예루살렘 귀환을 계기로 유다와 이스라엘 지파 사이의 불화가세바의 난사건으로 터진 것입니다. 환궁한 다윗은 압살롬과 동침한 후궁들을 별실에 가두고 마침 발생한 세바의 반역을 진압하기 위해 아비새를 파견합니다(1-7). 한편 이 와중에 요압은 자기를 대신하여 다윗의 군장이 된 아마사를 죽입니다(8-13). 그 후 세바를 추격하여 아벨 성을 포위한 요압은 지혜로운 한 여인의 도움으로 전투를 벌이지 않고 세바를 죽임으로 반란을 진압하고 다윗은 이 사건을 계기로 새로운 행정 조직을 갖춥니다(14-26).

Q1) 왕을 반대하는 이들(19:41,1-2절上)과 인정한 이들(2절下)의 특징은 어떠한가요?

Q2) 아벨 성이 처한 위기는 무엇이고(15절) 이 순간에 누가 어떻게 행동하나요(16-19절, 21-22절)?

[21] 21장에서는 이스라엘에 닥친 3년의 기근이 소개되는데 이 사건은 내용상 압살롬의 반란 이전에 발생한 사건입니다. 사울이 여호수아와의 약속을 어기고(참조, 9:3-27) 기브온 족족을 격멸한 죄로 다윗 시대에 3년의 기근이 발생합니다. 이에 다윗은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을 제외한 사울 일가를 그들에게 내어 주어 죽이게 함으로 기브온의 원한을 풀어 줍니다(1-9). 그리고 다윗은 그 동안 방치된 사울과 요나단의 뼈를 취해서 베냐민 땅 셀라에 장사 지냅니다(10-14). 그 후 블레셋과의 전쟁이 발발하고 다윗은 그 전투에서 승리를 거둡니다. 그리고 이 전투에서 용맹을 발휘한 여러 장수들의 이름이 기록됩니다(15-22).

Q1) 다윗에게 찾아온 또다른 위기는 무엇이고(1-2절)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나요(3절, 6절)?

Q2) 아들들의 죽음을 슬퍼하는 리스바가 행한 일은 무엇인가요(10절)?

Q3) 다윗의 용사들의 손에 죽은 블레셋 사람들은 누구이며 그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요(16절, 18-20절, 22절)?


2023.04.13 Reading is Life!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