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장] 23장은 우여곡절 끝에 발락에게 도착한 발람이 이스라엘에 대한 신탁을 전하는 장면입니다. 발람은 일곱 단을 쌓고 이스라엘ㄹ을 저주하기를 기다리지만 오히려 하나님은 발람을 통해 이스라엘을 축복하십니다(1-12절). 이에 발락이 다른 곳으로 옮겨 다시 단을 쌓지만 이번에도 하나님은 발람에게 이스라엘을 축복하게 하십니다(13-26절). 그러자 발락은 포기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옮겨 세 번째 단을 쌓습니다(27-30절).
Q1) 발람은 이스라엘을 향해 무엇이라 예언하나요(9-10절)?
Q2) 발락은 이스라엘을 저주하기 위해 어디로 발람을 인도하나요(14절)?
[24장] 24장에서는 하나님이 발람의 입술을 빌어 이스라엘을 축복하고 그들의 장래에 관해 예언하십니다. 두 차례에 걸쳐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데 실패한 발람은 이제 24장에서 다시금 두 차례에 걸쳐 이스라엘을 향해 저주합니다. 그러나 이 저주 역시도 23장의 두 예언과 마찬가지로 저주가 아닌 이스라엘을 향한 축복의 메시지로 바뀌고 맙니다. 발람을 통해 이스라엘을 저주하려는 발락의 시도는 오히려 이스라엘의 축복을 확인하며 실패로 끝을 맺고 맙니다. 세 번째도 발람이 이스라엘에 대한 축복만을 예언하자(1-9절) 발락은 분노하여 발람을 책망합니다(10-14절). 그러나 발람은 하나님이 허락하신 말씀만을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고백하고 장차 나타날 메시야에 관한 예언과 가나안 열방들의 멸망에 관한 예언을 끝으로 집으로 돌아갑니다(15-25절).
Q1) 발람은 누구의 영으로 예언하게 되나요(2절)?
Q2) 발람의 세 번째 예언을 들은 발락은 어떻게 반응하나요(10-11절)?
Q3) 발람은 발락에게 자신의 입장을 어떻게 정리하나요(12-4절)?
[25장] 25장의 사건은 출애굽기 32장에 나오는 시내 광야에서 일어난 금송아지 사건과 유사점이 많습니다. 일찍이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절대로 가나안 족속의 풍습을 본 받지 말라고 명령하셨는데 25장은 그런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처음부터 가나안의 풍속을 쫓다가 심판을 받게 되는 사건입니다. 금송아지 사건과 유사한 점은 먼저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했다는 것이고, 우상을 숭배한 것이며 우상 숭배에 참여한 자들 모두 즉각 죽임을 당했다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금송아지 숭배 때에도 레위인들의 헌신으로 사태가 수습되었던 것처럼 25장의 사건 역시 비느하스의 헌신적 행위로 사건이 마무리 됩니다. 싯딤에 이른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압 여자가 음행하고 우상을 섬기자 이에 격분한 비느하스는 간음한 남녀를 죽입니다. 이에 모세는 그에게 대제사장이 되는 축복을 줍니다(1-15절). 하나님은 모세에게 이스라엘로 음행케 한 미디안을 치도록 명하십니다(16-18절).
Q1) 이스라엘이 싯딤에서 저지른 죄악은 무엇이고(1-3절上) 하나님은 어떻게 반응하시나요(3-4절, 9절)?
Q2) 이스라엘의 범죄에 창을 든 비스하스의 행동에 하나님의 평가와 반응은 무엇인가요(10-13절)?
Q3) 죽임 당한 남녀가 속한 가문은 어디인가요(14-15절)?
2024.02.22 Reading is Life!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민수기29-31장 (0) | 2024.02.24 |
---|---|
[오늘말씀]민수기26-28장 (0) | 2024.02.23 |
[오늘말씀]민수기20-22장 (0) | 2024.02.21 |
[오늘말씀]민수기17-19장 (0) | 2024.02.20 |
[오늘말씀] 민수기14-16장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