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5장은 속죄제가 요구되는 세 종류의 범죄와 속건제에 대한 기록입니다. 속죄제와 속건제의 제사 드리는 법은 똑같으나 다만 구분이 있다면 속건제에 해당하는 범죄의 경우에는 5분의 1에 해당하는 배상액을 더 내야 합니다. 그래서 속죄제와 속건제는 거의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 집니다. 속죄제는 하나님과 관련하여 범한 죄를 사죄받기 위하여 드리는 제사이고, 속건제는 인간이나 성물과 관련하여 범한 죄를 사죄받고 자 드리는 제사입니다. 증인으로서 진실을 말하지 않는 자나 무의식 중에 거짓 맹세를 하였거나 부정한 것을 만진 자는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속죄제를 드려야 합니다(1-13절). 또한 여호와의 성물에 대해 범죄하거나 무의식 중에 금령 중 하나라도 어긴 자는 지정한 규정에 따라 속건 제물을 드려야 합니다(14-19절).
[6장] 6장은 1-5장에 언급된 다섯 가지 제사의 결론입니다. 전반부에는 앞장에서 언급된 속건제에 대한 보충 내용으로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한 자가 드려야 할 속건제를 언급합니다(1-7절). 다음에는 주로 제물의 종류나 제사의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앞부분과 달리 번제와 화목제(8-13절), 소제(14-23절), 속 건제(24-30절)를 드리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 언급합니다. 6장에서는 제사의 원인만이 아니라 절차, 방법에까지 상세한 규례를 언급하여 이스라엘 백성의 모든 삶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뜻에 의해 이루어짐을 나타냅니다.
Q1) 하나님께서 아론과 그의 자손에게 명령하신 것은 무엇입니까(9절 하반절)?
Q2) 하나님께서는 제사장의 소제물을 어떻게 하라고 명령하셨습니까(23절)?
[7장] 7장에는 6장에 이어 속건제 및 화목제의 규례가 언급되지만, 이 제사들에 있어 제사장의 몫과 그 제물을 먹는 규례가 언급되어 있습니다. 특히 제사 제도에 대한 규정이 주는 의미는 하나님께 제사하는 모든 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먼저 속건제와 속죄제의 제사 규례와 제사장의 분깃에 대해 설명하고(1-10절), 다음은 화목제 희생 고기에 관한 규례와 제사장의 분깃에 대해 언급합니다(11-34절). 특히 부정한 자는 화목제 희생 고기를 먹지 못하게 하는 금령이 강조되고 마지막으로 하나님은 이 제사에 관한 규례를 이스라엘 자손 대대로 지킬 것을 명하십니다(35-38절).
Q1) 규례를 제사를 드리고자 하는 사람의 동기에 따라 화목제물은 세 가지로 나뉘는데 그것은 무엇입니까(12-16절)?
Q2) 다섯 가지 제사 외에 첨가된 제사 하나는 무엇입니까(37절)?
[8장] 8장은 출애굽기 29장에 기록된 모세의 규정을 전제하며, 레1-7장까지의 모든 제사 규정을 성취한 내용입니다. 특히 아론과 그의 자손들이 제사장으로 성별되는 위임식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제사장 위임식은 이미 모세가 시내 산에서 지시받은 규례로 제사 제도가 규정되기 전에는 시행될 수 없었기 때문에 유보되다가 성막이 건립되고 제사 제도가 완비된 후에 시행되게 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아론 일가에 대해 제사장 위임식을 거행하도록 명하시고(1-9절) 이에 모세는 아론과 그 아들들에게 관유를 붓고 위임식을 위해 속건제와 번제, 화목제를 드립니다(10-29절). 그 후에 아론 일가는 성막 안에서 칠 일을 지내며 위임식 행사를 함으로 제사장 취임의 모든 준비를 끝내게 됩니다(30-36절).
Q) 아론과 그 아들들의 제사장 임직식은 며칠 동안 계속되었습니까(33절)? 그동안 아론과 아들들이 지켜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33-35절)?
2017.3.31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레위기 17-20장 (0) | 2017.04.03 |
---|---|
[오늘말씀] 레위기 9-12장 (0) | 2017.04.01 |
[오늘말씀] 레위기 1-4장 (0) | 2017.03.30 |
[오늘말씀] 출애굽기 36-40장 (0) | 2017.03.29 |
[오늘말씀] 출애굽기 31-35장 (0) |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