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열왕기상 13-15장

[13] 여로보암의 벧엘 금 송아지 제단에 얽힌 사건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의 의미는 이러한 사건이 있었음에도 변화되지 않는 여로보암의 완악함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사람의 경고와(1-10) 하나님의 사람의 실수가(11-19)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사람의 최후가 기록되어 있고(20-32), 여로보암의 계속적 타락을 밝혀 주고 있습니다(33-34). 하나님께서 벧엘의 금송아지 제단에 대해 갖고 계신 혐오감과 분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Q)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사람에게 벧엘 제단을 저주하도록 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2)?

[14] 분열 왕국의 초대 왕들인 북이스라엘의 여로보암과 남유다의 르호보암의 최후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히야의 경고(1-16), 여로보암 아들의 죽음(17-18), 그리고 여로보암의 죽음과(19-20), 르호보암의 죄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1-24). 이어 시삭의 침입(25-28), 르호보암의 죽음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9-31). 이 남북 왕국의 초대 왕들은 각기 남왕국, 북왕국 역사의 일반적 유형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즉 여로보암은 하나님의 훈계와 경고를 무시하고 일관되게 완악한 길을 걸었고, 이에 비해 르호보암은 대체로 하나님께 불순종하였으나 간간히 겸비와 순종의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이후 남북 왕국 역사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해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여로보암의 아들 아비야가 병들자 여로보암의 아내가 변장을 하고 아히야를 찾아갑니다. 아히야는 아들이 병든 이유가 무엇이라고 말합니까(9)?

[15] 남북 왕국의 2,3대 왕들이 소개됩니다.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왕도 있지만, 대부분이 그렇지 못했고 거듭되는 남북 왕국간의 전쟁 기록은 서로의 적대감과 이질감을 더욱 심화시켰습니다. 아비얌의 유다 통치(1-8), 아사의 유다 통치(9-24), 그리고 나답의 이스라엘 통치(25- 32), 바아사의 이스라엘 통치 도입부가(33-34) 소개되고 있어 남북 왕조의 2,3대 왕들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Q1) 아비얌은 어떠했다고 합니까(3-4)?

Q2) 아사는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하였습니까(11-14)?

Q3) 나답은 하나님 앞에서 어떠했습니까(26-28)?

Q4) 바아사는 어떠하였습니까(34)?


2017.5.27 Just Reading!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