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장] 49장에는 이스라엘과 전통적으로 깊은 정치적, 사회적 관계를 맺어왔던 이스라엘 주변의 국가들에 관한 하나님의 심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변방에 위치했던 이 나라들은 정치적 동기에 근거하여 때로는 직접적으로 이스라엘과 적대 관계에 놓이기도 했고, 가끔 이스라엘의 고난을 조롱함으로 간접적으로 하나님을 적대시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하나님은 친히 그들을 심판하셔서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돌보심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보여 주십니다. 암몬에 대한 심판 선언(1-6절), 에돔에 대한 심판 선언(7-22절), 다메섹에 대한 심판 선언(23-27절), 게달과 하솔에 대한 심판 선언(28-33절), 엘람에 대한 심판 선언(34-39절)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Q1)에돔이 받게될 심판은 어떠한 것입니까(18절, 20-21절)?
Q2)엘람이 받을 재판에 대한 말씀이 임한 때는 언제인가요(34절)?
[50장] 바벨론이 받을 심판, 멸망에 대해 기록되고 있습니다. 벨을 비롯한 바벨론이 의지했던 우상들은 하나님의 능력 앞에서 무력하게 사라질 것이고 이러한 바벨론에 대한 심판은 이스라엘의 회복으로 이어질 것을 말씀합니다(1-10절). 바벨론은 이스라엘 백성을 포로 끌고 갈 때 긍휼과 자비를 베풀지 않고 오히려 즐거워하고 기뻐했습니다. 이런 행동에 대해 하나님께선 하나님께 범죄하였다고 하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재앙이 임하여 무너질 것을 말씀하십니다(11-16절).이렇게 바벨론을 벌하셔서 이스라엘을 귀환시켜 풍성한 삶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십니다(17-32절). 그리고 재차 바벨론을 향한 심판 예언을 선포하십니다(33-46절).
Q1) 바벨론을 심판하시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하십니까(14절)?
Q2)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무엇이라고 부르십니까(6절, 11절)?
[51장] 50장에 이어서 바벨론 심판의 필연성을 언급합니다. 바벨론에 대한 심판을 다시 언급하고(1-14절), 하나님에 대한 찬송(15-19절), 여호와의 진노와 그 결국에 대해 말씀하십니다(20-26절). 바벨론을 적대하는 모든 열방의 모습(27-32절), 바벨론에 적대하는 유다의 불평과 하나님의 보수하심(33-40절), 바벨론의 운명(41-49절), 바벨론에 있는 포로들을 향한 여호와의 메시지가 기록됩니다(50-53절). 결국 바벨론은 궁극적으로 황폐하게 될 것이고(54-58절), 결론적으로 바벨론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완전히 파멸되고 다시 일어서지 못할 것을 선언하십니다(59-64절).
Q1)하나님께서 바벨론을 멸하시는 것이 무엇이라고 하나요(11절)?
Q2)하나님의 능력으로 행하신 일들은 무엇입니까(15-16절)?
Q3)바벨론은 결국 어떻게 될 것이라고 하시나요(64절)?
[52장] 유다의 현실적 패망이 기록됩니다. 하나님의 심판은 유다 백성의 대표인 시드기야가 포로로 잡혀가는 상황을 시작으로 해서 점진적으로 유다 공동체에 확산됩니다. 유다의 패망 직전의 상황을 묘사하고(1-9절) 바벨론에게 패망당하는 유다의 모습이 기록됩니다(10-27절). 그리고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간 사람들의 수와 이스라엘의 미래적 소망을 밝히며 예레미야서는 마무리됩니다(28-34질).
Q1) 시드기야는 어떻게 행하였나요(2절)? 결국 시드기야는 어떻게 되었나요(9-11절)?
Q2) 하나님의 성전은 어ᄄᅠᇂ게 되나요(13절, 17-23절)? 유다 백성들은 어떻게 되나요(27절)?
2017.8.14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욥기 1-3장 (0) | 2017.08.16 |
---|---|
[오늘말씀] 예레미야애가 1-5장 (0) | 2017.08.15 |
[오늘말씀] 예레미야 43-45장 (0) | 2017.08.12 |
[오늘말씀] 예레미야 40-42장 (0) | 2017.08.11 |
[오늘말씀] 예레미야 37-39장 (0) | 2017.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