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하박국의 이름은 “포옹하다” 또는 “포옹하는 사람”이라는 뜻하는 단어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하박국서의 핵심어는 “믿음”과 정의”이고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라는 하박국의 주제는 사도 바울과 히브리서 기자에 의해 더욱 발전되고 종교개혁과 루터의 개혁 이념이기도 합니다.
[1장] 하박국 선지자가 유다의 패역함과 악인들의 득세에 대하여 하나님께 항의할 때(1-4절)에 하나님은 자신이 결코 악을 묵과하는 자가 아니라 죄를 심판하시는 분이며 선지자의 항의 이전에 이미 패역한 이스라엘을 심판하기 위해 심판의 도구로 갈대아를 준비해 두셨다고 하심으로 자신의 공의를 나타내십니다(5-11절). 그러자 하박국 선지자는 아무리 죄악을 심판하시지만 어떻게 더 큰 죄로 물들어 있는 이방 족속인 갈대아를 사용하시는지에 대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항의합니다(12-17절).
Q1) 하박국 선지자가 하나님께 질문한 내용은 무엇입니까(3절)? 당시 유다의 상태는 어떠했습니까(3-4절)?
Q2) 하박국 선지자의 질문에 대한 하나님의 답은 무엇인가요(6절)?
Q3) 하나님은 어떤 분이십니까(12-13절)?
[2장] 2장에는 1장에서의 하박국의 질문에 대하여 하나님께서 대답하신 내용이 기록됩니다. 하박국은 유다가 심판을 받아야 한다는 데 대해서는 이의가 없지만 하필이면 왜 바벨론이냐 하는 것이 하박국의 두 번째 질문이었습니다. 하나님은 반드시 악인을 심판하시므로 그의 의로움을 드러내시기 때문에 세상은 하나님의 영광을 인정하는 것이 가득하게 되고 온 천하는 그의 앞에서 잠잠해야 하며 의인은 하나님은 믿는 믿음으로 살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하나님의 심판의 도구가 왜 하필이면 바벨론인가 하는 하박국의 질문에 하나님은 바벨론 역시 죄로 인해 심판 받게 되지만 그 가운데 유다도 심판 당하나 의인은 믿음으로 구원을 얻게 될 것이라 하십니다(1-14절).
Q1) 악인과 대조되는 의인의 특성은 무엇인가요(4절)? 바벨론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인가요(5-6절)?
Q2) 하나님은 바벨론을 어떻게 심판하실 것이라고 하시나요(7-8절)?
Q3) 바벨론이 저지른 악행은 무엇인가요(9-10절, 12절, 15절)?
Q4) 바벨론에 대한 하나님의 평가는 무엇인가요(10절, 13절, 16-17절)?
Q5) 바벨론이 섬기는 우상과 이스라엘의 참 하나님에 대해 무엇이라고 하나요(18-20절)?
[3장] 악인에 대한 심판과 의인에 대한 구원의 계획을 알게 된 하박국 선지자가 하나님을 찬양하는 기도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순된 현상을 보고 회의를 가졌던 하박국이 위대한 하나님의 계획을 깨닫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이 찬양은 하나님의 능력(1-7절), 하나님의 목적(8-16절), 그리고 믿음의 축복에 대한 찬양(17-19절)합니다.
Q1) 하박국은 무엇에 놀랐다고 하나요(2절上)?유다를 징계하고 바벨론은 심판하시겠다는 하나님의 말씀에 하박국이 간구한 두 가지는 무엇인가요(2절下)?
Q2) 바벨론을 통해 유다의 죄를 잠시 동안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궁극적인 뜻과 계획은 무엇인가요(3절)?
Q3) 범죄한 여러 나라를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은 어떠한가요(8-9절, 15절)? 하나님이 개입하셔서 범죄한 나라들을 직접 심판하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3절)?
Q4) 하나님의 징계와 심판 선언 앞에 하박국은 무엇을 느꼈다고 하나요(!6절)?
Q5) 유다가 바벨론으로부터 침공을 당하여 황폐해질 때라도 드리는 하박국의 고백은 무엇인가요(17-18절)?
2017.10.13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스가랴 1-3장 (0) | 2017.10.16 |
---|---|
[오늘말씀] 스바냐 (0) | 2017.10.14 |
[오늘말씀] 나훔 (0) | 2017.10.12 |
[오늘말씀] 미가 5-7장 (0) | 2017.10.11 |
[오늘말씀] 미가 1-4장 (0) | 2017.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