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23.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29장] 28장에 이어 29장에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지켜야 할 절기에 관한 규례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29장에서 언급된 절기들은 7월에 지켜지는 것으로 신년의 시작을 기념하는 나팔절과(1-6절) 이스라엘 공동체가 하나님 앞에 속죄 의식을 갖고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한 해를 시작하는 속죄일이 있습니다(7-11절). 그리고 이스라엘 절기 중 가장 규모가 큰 절기로 한 해의 수확을 결산하고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는 초막절이 있습니다(12-40절). 이렇게 큰 절기가 7월에 집중된 것은 새해를 시작하는 첫 달이며 농한기였기 때문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제사 방법과 희생 제물의 숫자까지 소상하게 가르치고 계시는 것은,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한치의 흐트러짐 없이 정해진 규율에 철저..
2025. 2. 22.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26장] 모세는 시내 산에서 출발하기 전에 하나님의 명령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의 인구 조사를 실시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범죄함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당하였고 출애굽 1세대는 가나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제 1차 인구 조사는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되어 하나님께서 26장에서 제 2차 인구 조사를 실시하게 하신 것입니다. 모세는 이스라엘의 각 지파별로 20 세 이상의 남자를 기준으로 인구 조사를 실시합니다(1-4절). 르우벤 지파를 처음으로 장자 지파부터 계수한 결과 총계수가 육십만 일천칠백삼십 명이었습니다(5-51절). 하나님은 이스라엘 지파의 숫자대로 땅을 나누게 하시고(52-56절) 레위 지파에게는 기업을 나누어 주지 않으십니다(57-65절).Q1) 하나님께서 2차로 인구조사를 실시..
2025. 2. 21.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23장] 23장은 우여곡절 끝에 발락에게 도착한 발람이 이스라엘에 대한 신탁을 전하는 모습이 나옵니다. 발람은 일곱 단을 쌓고 저주의 신탁을 기다렸으나 오히려 하나님은 발람을 통해 이스라엘을 축복하십니다(1-12절). 이에 발락이 다른 곳으로 옮겨 다시 단을 쌓지만 이번에도 하나님은 발람을 통해 이스라엘을 축복하십니다(13-26절). 그러자 발락은 포기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옮겨 세 번째 단을 쌓습니다(27-30절).Q1) 발락이 발람에게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요(7절, 11절)?Q2) 발람이 스스로 인정한 사실은 무엇인가요(23절上)?[24장] 두 차례에 걸쳐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데 실패한 발람은 24장에서 다시금 두 차례에 걸쳐 이스라엘을 향해 저주합니다. 그러나 이 저주 역시도 23장의 두 예언과 ..
2025. 2. 20.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20장] 하나님의 뜻을 거역하고 불순종한 결과 가데스 바네아 주변에서 38년 동안 방황하던 이스라엘은 이제 에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20장에는 이스라엘이 가나안에 입성하기에 앞서 이스라엘의 최고 지도자들인 모세의 누이 미리암, 모세의 형 아론의 죽음과 모세가 가나안에 입성할 수 없는 중대한 사건이 언급됩니다. 미리암이 죽고 이스라엘 백성들은 먹을 물이 없는 것을 인해 다시 하나님과 모세를 원망합니다(1-9절). 백성의 패역함을 보고 분노한 모세는 혈기를 부려 가나안 땅에 들어가지 못하게 됩니다(10-13절). 한편 에돔 왕은 가나안으로 가기 위한 이스라엘의 통행을 거부하고(14-21절), 아론이 죽고 아들 엘르아살이 대제사장직을 승계하게 됩니다(22-29절).Q1)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것은 무..
2025. 2. 19.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17장] 16장에서 고라 일당의 반역 사건을 통해 인간의 불의한 교만과 욕망이 얼마나 부질없고 위험한 것인가를 일깨우셨던 하나님은 이제 이스라엘 백성 중에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권위를 위임 받은 자가 과연 누구인가를 분명히 가려 주심으로 더 이상의 분란과 반역이 없도록 하십니다. 아론의 권위에 대한 고라의 도전은 비록 하나님의 심판으로 실패했지만 아론의 권위에 대한 위기는 그대로 존재하자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별로 지팡이 하나씩을 준비하여 증거궤 앞에 두도록 명하십니다(1-7절). 이튿날 그 지팡이들을 확인한 결과 아론의 지팡이에만 꽃이 피어 살구 열매가 열렸습니다. 이에 모세는 아론의 싹난 지팡이를 법궤에 보관하여 증표로 삼습니다(8-11절). 이 사건을 경험한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반역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