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고린도전서 12-16장

[12] 12장에서는 교회 안에서 성령의 은사 때문에 일어나는 일들을 다루기 때문에 '은사의 장'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당시 고린도 교회에는 초대교회의 특색인 성령의 역사가 강렬하게 일어나면서 다양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이에 바울은 은사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설명을 해 줄 필요를 느끼고 은사의 다양함을 소개하고 그 다양한 은사가 한 성령에 의해 주어진다는 것과 은사가 주어진 목적이 교회와 모든 사람의 유익을 위함이라고 강조합니다(1-11). 한 지체로 부르심 받은 성도이기에 지체의 통일성(12-20), 그리고 각 지체는 상호 보완성을 가지고(21-26) 각자에게 맡는 은사와 직분이 주어짐을 전합니다(27-31)

 

Q1) 각기 다른 우리가 한 몸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2-17)?

 

Q2) 한몸과 지체는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있나요(12, 14), 18, 20)?

 

Q3) 바울은 교회 공동체와 공동체에 속한 성도들의 관계를 무엇에 비유했나요(27)?

 

[13] 13장은 '신약의 황금장'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장으로서, 영적 은사의 문제 앞에서 분쟁과 반목을 일삼던 고린도 교회에 은사의 근원과 목적을 가르치던 바울은 13장에서 영적 은사 중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사랑의 은사'를 언급합니다. 흔히사랑장이라고 불리는 13장에서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있었던 분쟁을 언급하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사랑임을 강조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사랑의 특성에 대해 이야기하며(1-7) 사랑의 영원성을 노래합니다(8-13). 특별히 사랑의 속성 중인내를 가장 강조합니다(4,7).

Q) 바울은 여러 은사를 언급한 은사를 사모할 것을 권면하며 무엇에 대해 말하나요(1-3)?

[14] 12장에서부터 계속되던 성령의 은사에 대한 교훈은 14장에서 바울은 예언과 방언에 대해 교훈하며 막을 내립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 문제가 되었던 방언과 은사들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면서 모든 일을 하나님이 세우신 질서를 따라 행함으로 교회의 덕을 세울 것을 명합니다. 당시 고린도 교회 내에 성행하고 있던 방언은 통역의 은사가 없이는 이해할 없는 신비스러운 것이었고, 지나치게 방언의 신비함에 몰두하다 성령의 다른 은사들을 무시하는 경향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래서 교회의 질서까지 위태롭게 하였습니다. 이에 바울은 예언과 방언의 은사(1-6), 방언의 올바른 사용(7-19), 방언에 대한 불신자들의 태도(20-25), 질서 있는 예배(26-40) 대해 가르칩니다.

Q1) 바울은 신령한 은사를 사모하되 무엇이 우선 되어야 함을 말하나요(20)?

Q2) 방언을 오용할 받게 되는 오해는 무엇이고 예언을 통해 얻는 유익은 무엇인가요(23-25)?

Q3) 교회에서 나타나는 여러 은사들은 어떤 원칙에 의해 발휘되어야 하나요(26, 33절上)?

 

[15] 구약 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사람이 죽으면 음부에 들어간다고 믿어 육신의 부활에 대해서 회의적이었고 특히 유대교 분파인 사두개인들은 영혼 불멸과 육체의 부활을 모두 부인하였습니다. 헬라인들은 영혼 불멸은 믿었으나 육신의 부활은 믿지 않아 그들에게 있어서 영생이란 육신을 벗어버리고 영혼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영향을 많이 받은 고린도 교회에는 육신의 부활을 부인하는 사람들이 생기게 되자 바울은 육신의 부활을 부인하는 것은 예수의 부활 사건을 부인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복음의 진리와 신앙의 근본에 대한 부정이라고 지적하면서 그리스도의 부활(1-11), 성도의 부활(12-19), 부활의 보증인 그리스도(20-28), 부활 신앙(29-34), 부활한 몸의 상태(35-49), 부활의 승리(50-58) 통해 참된 부활의 의미와 신앙에 대해 가르칩니다.

Q1) 바울은 그리스도께서 다시 살아나신 것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어떻게 제시하나요(5-8)?

Q2) 바울은 죽은 자의 부활과 그리스도의 부활을 부인하면 어떤 결론이 나온다고 하나요(14-19)?

[16] 16장은 고린도전서 결론으로 실제적 교회 행정,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고린도 교인들의 연보와 가지 부탁, 문안 인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추상적인 말이나 사상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삶을 위해 사랑을 실천하는 바울의 신앙적 자세를 보여 줍니다. 바울 서신의 특징은 신앙, 또는 교회 운영의 기본 원리의 실제적 지침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바울은 교회 행정에 관한 실제적 지침을 밝힙니다. 어려움에 처한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연보를 하라는 구체적 당부(1-4) 실천적 행함을 통해 교회간의 협력을 당부하며 고린도 교회에 대한 바울의 계획(5-12), 마지막 부탁과 작별인사(13-24) 이어집니다.


2018.02.06 Just Reading!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