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장] 이스라엘에게 땅은 단순한 재산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데 땅은 하나님의 구원과 축복을 보증하는 언약의 증표이기 때문입니다. 25장에서는 일반 사회 규범 중에서 땅에 관한 규례를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토지를 경작할 때 7년째 되는 해에는 쉬게 해야 하고(1-7절), 50년째에 맞이하는 희년에는 토지를 쉬게 할 뿐 아니라 매매된 토지를 원주인에게 모두 돌려주어야 합니다(8-28절). 이외에 가옥 거래와 고리 대금 금지에 대한 규례가 언급되어 있습니다(29-38절). 특히 후반부에는 종에 대한 규례가 나오는데 동족 중에 종이 된 자는 피차 엄하게 다루어서는 안 되며 토지와 같이 희년이 될 때 자유인으로 풀어주어야 합니다(39-55절).
Q1) 하나님께서 주신 땅에 들어가서 그 땅으로 어떻게 하라고 말씀하시나요(2-7절)?
Q2) 안식년이 일곱 번 지나고 난 다음 오십년 째 해를 어떻게 지키라고 하시나요(10-12절)?
Q3) 안식년을 지킬 때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먹이시겠다고 약속하십니까(20-22절)?
[26장] 26장은 레위기 전체의 실질적인 결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율법에 순종하는 자에 대한 축복과 불순종하는 자에 대한 저수가 구체적이고 대조적으로 언급됩니다. 출애굽기 23장에 나오는 시내 산 언약의 결론과 동일한 내용으로 계명에 대한 준수를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우상 숭배를 금지하고 안식일 준수에 대해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1-2절). 그리고 계명을 준수하는 자는 땅의 풍성한 소산을 먹게 하고 원수로부터 보호하실 것을 약속하십니다(3-13절). 그러나 계명을 준수하지 않는 자는 그 수고를 헛되게 하고 대적의 침략에 의해 멸망 당할 것이라 경고하십니다(14-39절). 그러나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의 완악함을 아시고 죄로 인한 심판 가운데서도 회개함을 통해 다시 축복을 얻을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으셨습니다(40-46절).
Q1) 규례와 계명을 준행할 때 하나님이 주시는 것은 무엇입니까(3-13절)?
Q2) 청종하지 않고 준행하지 않을 때 하나님께서는 어떻게 하시겠다고 하나요(14-39절)?
Q3) 죄로 가득한 우리에게 하나님이 열어주신 길은 무엇인가요(40-46절)?
[27장] 레위기의 결론인 26장에 이어 27장에서는 주로 하나님께 드리는 서원과 십일조에 관한 규례를 다루고 있습니다. 사람에 대한 서원(1-8절) 생축(9-13절), 가옥(14-15절) 그리고 토지에 대한 서원(16-25절)에 대해 말씀합니다. 이 서원은 의무가 아니고 자유이지만 한 번 서원한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하고 무르기 위해서는 해당 금액에 오 분의 일을 더하여 제사장에게 바쳐야 했습니다. 한편 가축 중 처음 난 것은 반드시 하나님께 드려야 하며(26-29절), 모든 소산의 십 분의 일을 하나님께 드리라고 합니다(30-34절).
Q1) 가축의 처음 난 것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26절)?
Q2) 처음 난 것이 부정한 것이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27절)?
2018.04.01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민수기 5-8장 (0) | 2018.04.03 |
---|---|
[오늘말씀] 민수기 1-4장 (0) | 2018.04.02 |
[오늘말씀] 레위기 21-24장 (0) | 2018.03.31 |
[오늘말씀] 레위기 17-20장 (0) | 2018.03.30 |
[오늘말씀] 레위기 13-16장 (0) | 2018.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