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레위기에서 이미 언급되었던 정결 규례와 각종 범죄에 대한 처벌 규정이 나옵니다. 하나님께서는 각종 부정한 자를 이스라엘 진 밖으로 추방하라고 명하십니다(1-4절). 그리고 범죄에 따른 손해 배상법(5-10절), 간음한 혐의로 고소된 여인에 대한 재판 방법에 대한 규례를 설명합니다(11-31절). 이처럼 부정한 자와 범죄에 대한 처벌법은 정결이라는 점에서 동일한 맥락을 지닌 것으로,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을 향해 출발하기 전에 언급한 것은 언약의 백성이 지녀야 할 정결의 중요성을 말해 줍니다.
Q1)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하신 것은 무엇인가요(2-3절上)?
Q2) 죄를 범한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7-8절)?
Q3) 제사장이 간음 혐의를 받은 여인에게 마시게 하는 "쓴 물"은 어떻게 만든 물인가요(17절, 23절)?
[6장] 이스라엘 백성 중 처음부터 하나님에 의해 구별된 레위인 외에 특별히 거룩한 자들인 나실인에 대한 규례가 나옵니다. 나실인들은 특별한 이유에 의해 서원함으로 일정 기간 혹은 평생 하나님께 바쳐졌습니다. 나실인은 스스로 구별하여 부정한 것으로부터 피해야 하며(1-8절), 만일 더럽혀졌을 때는 정결 의식을 통해 다시 정결케 됩니다(9-12절). 서원한 기간이 만료 되었을 때는 제사를 드림으로 정결 규례에서 해방됩니다(13-21절). 마지막에는 제사장의 축복권에 대해 말씀합니다(22-27절).
Q1) 나실인으로 헌신할 수 있었던 사람은 누구인가요(2절)?
Q2)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축복할 권한을 누구에게 위임하시나요(23절)?
Q3) 그러나 실제 복을 주는 주체는 누구인가요(27절)?
[7장]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성막을 완성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족장을 중심으로 성막 봉헌을 위해 예물을 드립니다. 모세는 족장별로 여호와께 드릴 예물을 정하고 그것을 레위 족속에게 분배하여 성막 봉사를 위해 쓰게 합니다(1-11절). 그 후 열두 지파의 족장들은 매일 한 사람씩 12일에 걸쳐 예물을 드렸습니다(12-83절). 이어 족장들이 바친 예물의 총계, 하나님께서 그들의 봉헌에 응답하시는 장면이 나옵니다(84-89절).
Q1) 각 지파의 지휘관들이 드린 헌물은 무엇이고(2-3절) 그 헌물은 누구에게 어떤 용도로 사용되나요(5절)?
Q2) 매일 한 사람씩 각 지파의 지휘관이 드린 제단의 봉헌물은 무엇인가요(13-17절)?
Q3) 예물을 드리기 전에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88절)?
[8장] 이스라엘 백성들을 대신해 하나님의 일을 봉사하기 위하여 선택된 레위 지파의 성결 예식에 관해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일곱 등잔에 불을 밝혀 성막 안에 두도록 명하십니다(1-4절). 한편 레위인들에게 성막 봉사에 앞서 정결 의식을 거행하도록 명하셨고(5-13절), 이스라엘의 초태생을 대신하여 레위인을 하나님의 것으로 선택하셨음을 밝히십니다(14-19절). 이제 정결 의식을 마친 레위인들은 드디어 성막 봉사를 시작하는데 부가적으로 하나님이 지정하신 레위인의 정년 제도에 대한 규례에 대해서도 말씀해 주십니다(20-26절).
Q1) 등잔의 제작, 사용법은 모두 무엇을 다른 것인가요(1-4절)?
Q2) 레위인을 하나님의 소유로 삼으신 데는 어떤 배경이 있나요(16-17절)?
2018.04.03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민수기 13-16장 (0) | 2018.04.05 |
---|---|
[오늘말씀] 민수기 9-12장 (0) | 2018.04.04 |
[오늘말씀] 민수기 1-4장 (0) | 2018.04.02 |
[오늘말씀] 레위기 25-27장 (0) | 2018.04.01 |
[오늘말씀] 레위기 21-24장 (0) | 2018.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