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욥기 29-33장

[29] 지금까지 계속되던 '변론과 답변'이라는 대화 형식은 빌닷의 변론을 끝으로 종결되었고 대신 욥의 독백성 답변이 엘리후가 등장하기 전까지 계속 전개됩니다. 27-28장의 독백 부분은 세 친구에 대한 반론의 성격이 강하지만 29장부터 31장까지의 독백은 욥이 하나님을 향해 자신의 무죄한 고난을 호소하는 내용으로 욥 자신이 번영했던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이 기록됩니다. 자신의 번영했던 과거를 회상하며 하나님의 보호와 친밀한 교제에 대한 회고(1-6)와 사람들이 자신에게 나타냈던 칭송과 존경에 대한 회고가 이어집니다(7-17). 그리고 사랑과 공의를 행하던 자신의 지도자적 위치에 대한 회상도 이어집니다(18-25).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면서 과거에 불의함이 없었음을 드러내며 자신이 불의하다고 하는 친구들의 주장을 반박합니다.

Q1) 욥은 무엇을 원한다고 하나요(2, 4)?

Q2) 과거에 사람들이 욥을 어떻게 대했다고 하나요(7-11, 13,21-24)?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12, 14-17, 25)?

[30] 29장에서 욥 자신이 누렸던 과거의 번영을 세부적으로 묘사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현재의 불행을 묘사합니다. 사회적으로 당하는 고난, 즉 사람들에게 멸시 받는 모습(1-15)과 하나님께서 욥을 버리셨음을 한탄합니다(16-23). 그리고 누구의 도움조차 받을 수 없는 욥의 절망적 마음을 기록합니다(24-31).

Q1) 지금은 사람들이 욥을 어떻게 대한다고 하나요(1, 9-10, 12-13)?

Q2) 하나님이 자신을 어떻게 하신다고 느끼고(19-23) 자신의 마음은 어떠하다고 고백하나요(25, 27-31)?

[31] 오랫동안 계속 이어진 욥의 변론이 이제 결론에 이르럽니다. 31장에서 자신을 향하여 주어지고 던져졌던 온갖 형태의 적대 행위와 조롱과 모함에 대해 엄숙한 변호를 펼칩니다. '만일 내가-죄를 범했다면, 내가-벌을 받을 것이다'라는 식의 진술로 자신의 결백함을 증명합니다. 맹세를 항목별로 구분하면, 탐욕적인 호색을 부인하고(1-4), 거짓과 탐심을 부인하며(5-8), 간음죄를 짓지 않았음을 변론하고(9-12), 종들조차 멸시한 적이 없다고 합니다(13-15). 이어 가난한 자, 과부, 고아를 선대하였고(16-23), 원수와 나그네까지 선대하였으며(24-32), 죄를 숨기지 않았다고 합니다(33-34). 이어 자신의 죄 없음을 거듭 강조하며 친구들에게 고소장을 쓰라고 합니다(35-40).

Q) 욥은 자신을 변론하며 자신이 어떻게 행하였다고 각각 이야기하고 있나요(1, 5, 9, 13, 16-19, 21, 24, 33)?

[32] 32장부터 37장까지는 엘리후의 중재적인 변론입니다. 엘리후는 앞서 언급된 욥의 세 친구와는 별도의 사람입니다. 지금까지 욥과 그의 세 친구들의 변론을 모두 들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의롭다고 주장하는 욥의 고집을 꺾지 못한 세 친구들에게 분노를 터뜨리면서 변론에 나섭니다(1-5). 그리고 자신이 변론하는 당위성을 언급하면서 세 친구의 변론에 대해 비난합니다(6-14). 그리고 변론에 대한 엘리후 자신의 심경을 토로합니다(15-22). 지금까지 욥의 세 친구들은 고난의 원인이 죄 때문이라는 인과응보의 논리였지만, 엘리후의 등장으로 인과응보가 아닌 고난을 통한 연단이라는 견해로 고난에 대해 새로운 적극적인 해석을 합니다.

Q1) 엘리후가 분노한 이유는 무엇입니까(2-3)? 엘리후가 말하기를 참았던 이유는 무엇인가요(4)?

Q2) 엘리후가 이야기를 시작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합니까(17-18, 20-22)?

[33] 엘리후의 본격적인 변론으로 욥의 그릇된 변론을 수정하려는 데 초점을 두고 우선 자신이 전개하는 말을 욥이 호의적으로 받아들일 것을 부탁하면서 본론에 들어갑니다(1-7). 욥의 의에 대한 엘리후의 생각(8-12), 인간이 알 수 없는 하나님의 섭리(13-18)와 하나님의 간섭으로 고통 당하는 인간(19-22)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또 회개를 원하시는 하나님(23-28), 하나님의 궁극적 계획은 인간 구원(29-33) 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Q1) 엘리후는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기 전에 욥에게 무엇을 부탁하나요(1)?

Q2) 엘리후가 들은바 욥은 자신을 어떻게 여기나요(9-11)? 이에 대한 엘리후의 의견은 무엇인가요(12)?


2018.07.19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욥기 39-42장  (0) 2018.07.21
[오늘말씀] 욥기 34-38장  (0) 2018.07.20
[오늘말씀] 욥기 22-28장  (0) 2018.07.18
[오늘말씀] 욥기 16-21장  (0) 2018.07.17
[오늘말씀] 욥기 11-15장  (0) 2018.07.16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