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4장은 '교회의 성장'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며 동시에, 교회에 대한 핍박의 시작도 함께 소개됩니다. 예수님은 일찍이 제자들에게 그들이 공회에 넘겨지고 관장들과 임금들 앞에 서서 고난을 받게 될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에 있게 되면 성령께서 그들을 통해 말씀하실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막13:9-11). 날 때부터 걷지 못한 자를 치유한 이후 성령의 역사가 강하게 나타나자 유대교 지도자들은 사도들에 대한 박해와 반대를 더욱 강화합니다. 공회 앞에 베드로와 요한이 체포되고(1-4절), 이 공회에서 성령 충만함을 받은 베드로가 지혜롭게 변증하자(5-12절) 학문이 없고 평범한 사람인줄 알았던 베드로와 요한의 담대함과 지혜에 놀라며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거나 가르치지 말라고 경고합니다(13-18절). 그러자 베드로와 요한은 자신들은 산헤드린의 명령보다 더 높은 하나님의 말씀 아래 있음을 강조합니다(19-22절). 석방된 베드로와 요한과 사도들은 함께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의 기도(23-31절)을 올려드리고 믿는 무리들이 점점 나눔의 공동체로 자라갑니다(32-37절)
Q1) 사도들이 수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한 결과 어떤 고난과 열매가 있었나요(1-4절)?
Q2) 공회원들이 사도들을 처벌하지 못한 채 위협만 하고 다시 놓아줄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21절)?
Q3) 성도들이 합심하여 통성으로(24절上) 기도하자 어떤 결과가 나타났나요(31절)?
[5장] 오순절 성령 강림을 계기로 태동된 교회는 처음부터 핍박을 받는데 이러한 시련 속에서도 성장하는 교회의 모습이 4-7장까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핍박이 더할수록 교회는 더욱 흥왕하여지고 복음은 더욱 널리 퍼지게 되는데 이 가운데 육적 소욕으로 하나님을 속인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비극(1-11절)이 나옵니다. 이 사건으로 교회는 긴장하게 되고 이런 내적인 시련에도 사도들을 통해 수많은 표적과 기사가 나타나 복음이 더욱 전파됩니다(12-16절). 그리고 산헤드린 공회로부터 핍박을 받게 됩니다(17-42절).
Q1) 아나니아와 삽비라가 비극적 죽음을 맞게된 이유는 무엇인가요(3-4절, 9절)?
Q2) 대제사장과 사두개인들이 마음에 시기가 가득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15-17절)?
Q3) 사도들의 증언(29-32절)을 듣고 공회원들의 반응은 어떠한가요(33절)?
[6장] 다가올 핍박에 대비한 예루살렘 교회 내의 움직임이 기록됩니다. 핍박 가운데서도 점점 흥왕해지는 교회를 은혜와 진리 가운데 굳건하게 세우고 더욱 선교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서 교회 내부의 조직과 체제를 정립합니다. 유대교와 기독교 사이에 있는 긴장의 심화는 기독교에 대한 유대교의 핍박으로 분출되었지만, 이는 오히려 복음이 유대인에게만이 아닌 이방으로 확장되는 계기가 됩니다. 그래서 이방 지역에 흩어져 살던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개종하고 이들로 인해 초대교회는 큰 부흥을 맞이합니다. 그러나 이들의 유입으로 유대계 그리스도인과 헬라계 그리스도인이라는 새로운 갈등 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회 내부의 조직과 체제를 재정립하였던 것입니다. 이를 위해 열두 사도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직무를 수행할 '일곱 집사'가 세워졌고(1-7절), 그 집사 중 한 명인 스데반의 사역이 기록되어 있습니다(8-15절).
Q1) 성도가 많아지자 초대 교회는 어떤 문제에 부딪혔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도들은 어떤 결정을 내렸나요(1절,3절)?
Q2) 스데반 집사가 놀라운 사역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 때문인가요(5절上, 8절)?
[7장] 스데반의 설교와 순교가 기록되었습니다. 스데반의 설교는 아브라함의 교훈(1-7절), 요셉의 교훈(8-16절), 모세의 교훈(17-36절), 우상을 섬긴 이스라엘(37-43절), 성령을 거스르는 이스라엘(44-53절)에 대한 설교였습니다. 이 설교를 통해 유대인들의 영적 무지를 드러내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것을 촉구하였는데 이는 정통 유대인들의 분노를 격발시켰고, 이로 말미암아 스데반은 순교를(54-60절) 당하게 됩니다. 이후 예루살렘의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핍박이 본격화됩니다.
Q1) 하나님이 모세에게 나타나신 이유가 무엇이라고 하나요(34절)?
Q2) 스데반이 설교의 결론 부분에서 청중이었던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을 질책한 내용은 무엇인가요(52-53절)?
Q3) 스데반의 설교를 들은 사람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고(54절,57-59절) 자신을 돌로 치려는 사람들 앞에서 드린 스데반의 기도는 무엇인가요(60절)?
2018.11.16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사도행전 11-14장 (0) | 2018.11.18 |
---|---|
[오늘말씀] 사도행전 8-10장 (0) | 2018.11.17 |
[오늘말씀] 사도행전 1-3장 (0) | 2018.11.15 |
[오늘말씀] 요한복음 19-21장 (0) | 2018.11.14 |
[오늘말씀] 요한복음 16-18장 (0) | 2018.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