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갈라디아서 1-3장

Tip) 갈라디아서의 별명은 종교개혁의 입니다. 종교개혁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핵심적 신학사상인 하나님의 은혜를 믿음으로 의롭다 칭함을 받는다는 교리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마틴 루터, 요한 웨슬레는 갈라디아서가 자신의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고백합니다. 바울은 편지를 갈리디아교회를 미혹하던 율법주의자들의 가르침을 반박하고 오직 믿음으로 구원을 이룰 있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썼습니다. 갈라디아서의 핵심어는 은혜 자유입니다.

[1] 1장은 크게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째, 바울이 자신의 사도직을 부인하고 복음과 율법주의를 혼동하는 대적자들에게 선전 포고를 하며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경고합니다(1-10). 둘째, 이신칭의의 교리를 바울 자신에게 우선 적용시켜 설명합니다(11-24). 바울은 자신의 사도직에 대한 회의를 품고 그리스도의 복음을 왜곡시켜 율법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거짓 교사들에 대해 하나님의 저주가 있을 것을 선포하면서 오직 자신이 증거한 그리스도의 복음만이 유일한 구원의 복음임을 강조합니다. 이를 위해 자신의 사도직과 증거하는 복음이 사람으로 말미암지 않고 그리스도로 말미암았음을 변증합니다.

Q1) 바울은 갈라디아교회에게 복음이 무엇이라고 설명합니까(4-5)?

Q2) 예수님을 만나기 , 바울의 열심은 무엇을 향하고 있었습니까(13-14). 예수님을 만난 바울의 소명은 무엇입니까(16)?

[2] 바울은 자신의 사도직의 권위를 증거하기 위하여 다른 사도들과의 관계에서 있었던 일들을 소개합니다. 자신의 사도권과 이신칭의에 대해 설명합니다. 사도로서의 바울의 권위는 사람으로부터 위임받은 것이 아니요 하나님으로부터임을 강조합니다. 예루살렘 교회의 최고 지도자들이 사도 바울의 복음 사역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1-10), 수리아 안디옥에서 사도 베드로를 만나 그의 율법적인 외식 행위를 책망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1-14). 무엇보다 율법을 행함으로가 아닌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다 칭함을 받는 이신칭의의 진리가 강조되어 있습니다(15-21).

Q1) 바울은 할례준수를 강요하는 거짓형제들에게 한시도 복종하지 않았다고 합니까(5)?

Q2) 사람이 의롭게 되는 것은 무엇으로 말미암음이라고 합니까(16)?

[3] 바울은 율법과 복음의 관계를 설명함으로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됨을 증거합니다(1-14). 율법은 그리스도로 인도하는 초등교사(몽학선생)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리스도의 복음이 밝히 드러난 상태에서는 이상 역할이 필요 없게 되었다는 것입니다(15-29). 바울은 복음에 대해 변호하면서 특별히 구약 성경을 빈번하게 인용하며 직접 인용은 아니더라도 구약 성경의 내용을 배경으로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은 아브라함에 관한 이야기에 집중하여 율법과 복음을 설명합니다.

Q)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까지 주어진 한시적인 율법의 유익은 무엇입니까(24)?


2016.12.6 Just Reading!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