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레위기4-6장

[4] 4장에서는 속죄제에 관한 규례가 기록되는데 속죄제는 하나님의 율법을 어긴 자가 드리는 속죄 의식으로 반드시 드려야 하는 의무제였습니다. 속죄제는 다른 희생 제사와 형식에 있어서 동일한 방법으로 드렸지만 제사를 드리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제물의 종류가 달랐는데 먼저 제사장이 범죄했을 (1-12) 이스라엘 회중이 범죄했을 때는 수송아지로(13-21) 드렸습니다. 그러나 족장의 경우는 숫염소(22-26), 평민은 어린 양으로 희생 제사를 드렸습니다(27-35).

Q1) 제사장이 범죄했을 드릴 속죄제물은 무엇이고(3) 속죄제물은 어디에서 잡나요(4)?

Q2) 모세는 이스라엘 회중과 족장의 어떤 죄를 지목해 말하나요(13, 22)?

Q3) 제사장은 제물로 바친 동물의 피와 기름을 어떻게 해아 하나요(30-31, 34-35)?

[5] 4장에 이어 속죄제를 드려야 가지 경우와 속건제에 대한 규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속죄제는 하나님과 관련하여 범한 죄를 사함 받기 위하여 드리는 제사고, 속건제는 인간이나 성물과 관련하여 범한 죄를 사함 받기 위해 드리는 제사입니다. 증인으로서 진실을 말하지 않는 자나 무의식 중에 거짓 맹세를 하였거나 부정한 것을 만진 자는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속죄제를 드려야 합니다(1-13). 또한 여호와의 성물에 대해 범죄하거나 무의식 중에 계명 하나라도 어긴 자는 지정한 규정에 따라 속건 제물을 드려야 합니다(14-19).

Q1) 부지중에 지은 작은 죄에 대해 속죄제를 드려야 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1-4)?

Q2) 자신의 허물을 깨달았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5-6)?

Q3) 자신도 모르게 계명 하나를 범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17-18)?

[6] 1-5장에 언급된 다섯 가지 제사의 결론입니다. 6 전반부에는 5장에서 언급된 속건제에 대한 보충 내용으로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한 자가 드려야 속건제를 언급합니다(1-7). 다음으로는 주로 제물의 종류나 제사의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앞부분과 달리 번제와 화목제(8-13), 소제(14-23), 속건제(24-30) 드리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 언급합니다. 제사의 원인뿐 아니라 절차, 방법까지 상세한 규례를 언급하므로 이스라엘 백성의 모든 삶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뜻에 의해 이루어짐을 나타내어 줍니다.

Q1) 죄를 범한 사람이 용서받기 위해 해야 행동은 무엇인가요(4-6)?

Q2) 번제와 관련해 제단의 불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9, 12-13)?

Q3) 하나님께서는 속죄제 제물을 어디에서 잡으라고 명하시나요(25)?


2025.02.04 Reading is Life!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