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말씀] 열왕기하 7-9장

[7] 아람 벤하닷의 침입과 사마리아에 닥친 기근으로 인해 굶주림에 시달리던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과 능력으로 구원받는 사건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특히 7장의 핵심은 예언된 여호와의 말씀의 성취로, 1 '여호와의 말씀을 들을지어다' 16절의 '여호와의 말씀과 같이 되었고' 등의 구절이 핵심적인 주제를 부각시켜 주고 있다고 있습니다. 식량난 해결 예고(1-2), 텅빈 아람 진영을 발견한 나병 환자들(3-8) 나병 환자들이 소식을 성내에 알리고(9-11), 여호람은 정탐꾼을 보냅니다(12-15). 그리고 성취된 예언이 기록되어 있습니다(16-20).

Q) 아람 진영이 것을 나병환자들은 처음에는 먹고, 은과 등을 감추지만 결국 어떻게 합니까(9-10)?

[8] 8장에서는 3가지 사건이 기록되는데 첫째는 엘리사를 환대하였던 수넴 여인이 하나님의 은혜로 재산을 회복하는 내용과, 둘째는 엘리사가 이상하게도 적지라 있는 다메섹에 가서 사역하는 장면, 마지막으로 여호람과 아하시야가 유다를 통치하는 역사가 기록되어 있습니다7년 대기근이 기록되어 있고(1-2), 수넴 여인의 기업 회복(3-6), 하사엘의 벤하닷 살해(7-15), 여호람의 행적(16-24), 아하시야의 행적이 기록됩니다(25-29).

Q1)기근을 앞두고 엘리사는 자신을 환대했던 수넴 여인에게 어떻게 것을 명합니까(1-2)? 7 어떤 일이 생깁니까(3-6)?

Q2) 유다 왕이 아합과 같이 하나님 보시기에 악을 행했지만 하나님께서 멸하지 않으신 이유는 무엇입니까(19)?

[9] 유다 아하시야의 통치 후반기의 상황에 대해 기록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스라엘을 죄악으로 이끌었던 오므리 왕조의 몰락을 통해 죄악에 대해 반드시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모습을 보여 줍니다. 선지자 엘리사는 선지 생도를 통해 여호사밧의 아들 예후를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우게 하고, 예후로 하여금 아합의 집안을 멸절시키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도록 합니다. 이에 무리들이 예후를 공식적인 왕으로 삼습니다(1-13). 마침 요람은 아람과의 전투에서 부상을 당하여 이스르엘에서 치료를 받고 있었고 유다 아하시야가 문안 방문한 기회를 이용하여 예후는 자신을 마중하러 요람을 활로 쏘아 죽이고 도망가는 아하시야를 좇아 구르 비탈에서 죽입니다(14-29). 후에 예후는 다시 이스르엘에 돌아와 아합의 왕비였던 이세벨을 죽이고 시체를 버립니다(30-37). 이로써 오므리 왕조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게 되었습니다.

Q) 예후가 요람을 죽인 요람의 죽음에 대해 무엇이라고 말합니까(25-26)?


2017.6.1 Just Reading!

 

Designed by CMSFactory.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