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느헤미야는 에스라와 동시대 사람이었고 바사 왕에게 고향으로 돌아가도 좋다는 허락을 받은 후 무너진 성벽을 재건하고자 합니다. 애스라가 제사장으로서 영적 부흥을 위해 애썼으며 느헤미야는 총독으로서 물리적이고 정치적 재건을 위해 노력하며 백성들의 도덕적 개혁을 이끌었습니다. 느헤미야서는 기원전 444년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3차 귀환을 둘러싼 사건에 초점을 맞춥니다.
[4장] 유다 백성이 예루살렘 성벽 재건 사역을 하려 한다는 소식을 들은 이방인들은 이를 방해하기 위해 계략을 세웁니다. 산발랏과 암몬 사람 도비야는 처음에 유대인의 성벽 건축 소식을 들었을 때 불가능한 일을 한다고 비웃지만(1-3절) 유대인들은 신앙 안에서 일사불란하게 건축 공사를 하며 상당한 진척을 이룹니다(4-6절). 이에 산발랏과 암몬 사람들과 아라비아 사람들은 예루살렘 성벽 건축을 저지하기 위하여 예루살렘을 침공하겠다고 위협하자 유대의 건축 담당자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유대인들의 마음은 조금씩 분열되기 시작합니다(7-12절). 그러나 느헤미야는 용기를 잃지 않고 백성들을 격려하고 주를 기억할 것을 강력히 권면하고(13-14절) 이에 온 백성들이 다시금 힘을 얻고, 한 손에는 무기를 들고 한 손에는 연장을 들어 외적에 대한 방비와 성벽 건축의 일을 동시에 진행합니다(15-23절).
Q1) 유다 백성이 성벽을 재건한다고 하자 산발랏의 첫 번째 반응은 무엇입니까(1절)? 그럼에도 묵묵히 유대인들이 성벽을 재건하자 어떻게 합니까(7-8절, 10-12절)?
Q2) 계속된 위협에 분열되기 시작한 백성들에게 느헤미야는 어떻게 합니까(13-14절)?
[5장] 성벽 중건 공사가 진행되면서 내부에서는 흉년으로 인한 식량난과 과중한 세금 부담의 위협이라는 문제가 발생합니다(1-5절). 느헤미야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가 각 지역의 관리들과 유지들이 고리 대금업을 하여 동족들을 착취하고 심지어 노예로 매매하기까지 하는 사실에 있다고 보고 관리들과 유지들의 행동에 대하여 회개를 촉구하고 가난한 동족들을 조건 없이 도와줄 것을 제안합니다. 이러한 그의 제안이 받아들여져 민족적인 대운동이 전개됩니다(6-13절). 느헤미야가 평소에 개인의 영달을 도모하지 않고 자신이 거느린 식솔들이 생활할 만큼의 양식만을 취하고 백성들을 착취하지 않고 주를 위해 열심으로 일하는 헌신적인 모습을 보여 왔기 때문에 이 일이 가능했던 것입니다(14-19절).
Q1) 백성들의 원망의 내용이 무엇입니까(2-5절)? 이에 느헤미야는 어떻게 할 것을 권면합니까(11-13절)?
Q2) 느헤미야의 제안이 받아들여 질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일까요(14-18절)?
[6장] 산발랏과 도비야 등의 대적들은 여러 가지 방해 공작이 수포로 돌아가자 이번에는 거짓 회담을 제안하여 느헤미야를 제거하려는 음모를 꾸미지만 느헤미야는 그들의 음모를 미리 알고 회담 제의를 거부합니다(1-4절). 산발랏이 네 번이나 사신을 보내어 회담을 제의했으나 번번히 거절당하자 다섯 번째는 밀봉하지 않은 편지를 보내는데 그 내용은 느헤미야가 모반하려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편지를 밀봉치 않은 것은 소문을 내려는 음모였지만 느헤미야는 개의치 않고 산발랏의 편지를 무시합니다(5-9절). 이 일 후에 다시 산발랏은 스마야라는 거짓 선지자에게 뇌물을 주고 거짓 예언을 하게 하여 느헤미야가 제사장 외에는 들어갈 수 없는 성전에 들어가는 범죄를 저지르도록 음모를 꾸미지만 느헤미야는 하나님 앞에 범죄치 않습니다(10-14절). 모든 유혹과 난관을 이기고 52일 만에 성벽 중 건의 역사가 무사히 마치게 됩니다(15-19절).
Q) 산발랏과 도비야가 계속해서 모략을 꾸민 이유가 무엇입니까(13절)?
2017.7.3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느헤미야 10-13장 (0) | 2017.07.05 |
---|---|
[오늘말씀] 느헤미야 7-9장 (0) | 2017.07.04 |
[오늘말씀] 에스라 7-10장 (0) | 2017.07.01 |
[오늘말씀] 에스라 4-6장 (0) | 2017.06.30 |
[오늘말씀] 에스라 1-3장 (0) | 2017.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