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바울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의 믿음과 그로 인한 축복을 증거함으로 칭의의 원리를 보여 줍니다(1-3절). 칭의란 구원 받음에 있어 우리의 의와 상관없이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칭의를 받았다는 것은 지극히 행복한 일이라고 합니다(4-9절). 아브라함이 칭의 받은 사실은 계약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그가 칭의를 받은 시기는 할례 받기 이전이었고(10절), 이 시간으로 아브라함은 할례자나 무할례자를 막론하고 모두에게 믿음의 조상이 됨을 말합니다. 아브라함이 할례받기 전에 칭의를 얻는 사실도 사람이 공로 없이 믿음으로만 구원받을 사실을 알려주는 것입니다(11-25절).
Q1) 하나님은 언제 아브라함을 의인으로 인정하셨나요(10-11절)?
Q2) 바울은 아브라함이 누구의 조상 된다고 하나요(12절)?
Q3) "율법으로 의롭게 되려는 사람"이 상속자가 될 경우 발생하는 두 가지 문제점은 무엇이라 합니까(14절)?
[5장] 바울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구원의 적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아담의 대표성을 비유로 듭니다. 바울은 신자가 믿음으로 의를 얻으면, 결과적으로 화평과 기쁨을 가지게 된다고 합니다(1-4절). 이 칭의는 신자에게 구원을 보장하는 것으로 칭의를 받은 사람은, 성령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의 대신 죽어 주신 사랑을 받았으며(5-8절), 이 사랑을 느끼는 자도 구원의 확실성을 느끼게 됩니다. 하나님 앞에 원수 되었던 자가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칭의를 받았으니, 이렇게 칭의를 받은 의인이 영광의 구원을 받을 것이 명백함을 바울은 강조합니다(9-11절). 마지막으로 아담과 그리스도를 대비시켜 아담 한 사람의 범죄가 온 인류의 타락을 가져왔듯이 그리스도 한 사람이 한 하나님께 대한 순종이 그리스도를 믿든 모든 자에게 구원의 은혜를 임하게 하였다고 합니다(12-21절).
Q1)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되었나요(1-2절)?
Q2)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으로 하나님과 화목하게 된 우리가 받게 되는 선물은 무엇인가요(10-11절)?
Q3) 아담과 예수 그리스도의 차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15-16절)?
[6장] 바울은 성도가 그리스도를 믿고 세례를 받은 것이 옛 사람이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새 사람으로 다시 태어난 것임을 밝히면서 ‘의의 종’이 된 성도가 거룩한 길로 행하여야 할 당위성을 강조합니다. 바울은 사람이 중보자 그리스도와의 연합함으로,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의와 생명을 소유하게 되는데 특히 사람이 그리스도로 더불어 연합하는 방편으로 세례를 말합니다(1-11절). 그리고 죄에서 해방된 신자는 의의 종이 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기독교 신자는 죄에 대하여 죽었던 만큼 하나님께 대하여 살아야 할 처지에 있음을 말합니다. 죄에 대하여 죽었다고 함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그때부터 객관적으로 영원한 정죄를 면했을 뿐만 아니라 주관적으로도 죄를 미워하는 새 생명을 받은 것입니다(12-23절).
Q1) 옛사람이 죽었다는 것은 어떤 의미입니까(6-7절)?
Q2) 죄가 우리를 지배하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4절)?
Q3) 성도가 의의 종이 될 때 어디에 이른다고 하나요(19절)? 성도들이 받은 은혜는 무엇이며 의의 종이 이르는 마지막은 무엇인가요(22-23절)?
2017.11.24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로마서 13-16장 (0) | 2017.11.27 |
---|---|
[오늘말씀] 로마서 7-9장 (0) | 2017.11.25 |
[오늘말씀] 로마서 1-3장 (0) | 2017.11.23 |
[오늘말씀] 사도행전 25-28장 (0) | 2017.11.22 |
[오늘말씀] 사도행전 22-24장 (0) | 2017.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