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4장에 이어 속죄제를 드려야 할 세 가지 경우와 속건제에 대한 규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속죄제는 하나님과 관련하여 범한 죄를 사함 받기 위하여 드리는 제사고, 속건제는 인간이나 성물과 관련하여 범한 죄를 사함 받기 위해 드리는 제사입니다. 증인으로서 진실을 말하지 않는 자나 무의식 중에 거짓 맹세를 하였거나 부정한 것을 만진 자는 자신의 경제적 능력에 따라 속죄제를 드려야 합니다(1-13절). 또한 여호와의 성물에 대해 범죄하거나 무의식 중에 계명 중 하나라도 어긴 자는 지정한 규정에 따라 속건 제물을 드려야 합니다(14-19절).
[6장] 1-5장에 언급된 다섯 가지 제사의 결론입니다. 전반부에는 5장에서 언급된 속건제에 대한 보충 내용으로 타인의 재산권을 침해한 자가 드려야 할 속건제를 언급합니다(1-7절). 다음으로는 주로 제물의 종류나 제사의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앞부분과 달리 번제와 화목제(8-13절), 소제(14-23절), 속건제(24-30절)를 드리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 언급합니다. 제사의 원인뿐 아니라 절차, 방법까지 상세한 규례를 언급하므로 이스라엘 백성의 모든 삶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뜻에 의해 이루어짐을 나타내어 줍니다.
Q1) 하나님께서 아론과 그의 자손에게 명령하신 것은 무엇입니까(9절下)?
Q2) 하나님께서는 제사장의 소제물을 어떻게 하라고 명령하셨습니까(23절)?
[7장] 6장에 이어 속건제 및 화목제의 규례가 언급되고 이 제사들에 있어서 제사장의 몫과 그 제물을 먹는 규례에 대해 말씀합니다. 먼저 속건제와 속죄제의 제사 규례와 제사장의 분깃에 대해 (1-10절), 화목제 희생 고기에 관한 규례와 제사장의 분깃을 언급합니다(11-34절). 특히 부정한 자는 화목제 희생 고기를 먹지 못하게 하는 금령이 강조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은 이 제사에 관한 규례를 이스라엘 자손 대대로 지킬 것을 명하십니다(35-38절).
Q1) 화목제물을 드리는 규례를 제사를 드리고자 하는 사람의 동기 세 가지는 무엇인가요(12-16절)?
Q2) 다섯 가지 제사 외에 첨가된 제사는 무엇인가요(37절)?
[8장] 8장은 출애굽기 29장에 기록된 모세의 규정을 전제하며, 레위기 1-7장까지의 모든 제사 규정을 성취한 내용입니다. 특히 아론과 그의 자손들이 제사장으로 성별되는 위임식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 있습니다. 출애굽기 29장을 통해 제사장의 임명이 이루어졌지만 이제 성막이 완성되고 제사에 관한 규례가 완성된 시점에서 본격적인 제사장의 활동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아론 일가에 대해 제사장 위임식을 거행하도록 명하십니다(1-9절). 이에 모세는 아론과 그 아들들에게 관유를 붓고 위임식을 위해 속건제와 번제, 화목제를 드렸습니다(10-29절). 그 후 아론 일가는 성막 안에서 7일을 지내며 위임식 행사를 함으로 제사장 취임의 모든 준비를 끝냅니다(30-36절).
Q1) 아론과 그 아들들의 제사장 임직식은 며칠 동안 계속되었나요(33절)?
Q2) 아론과 그 아들들은 며칠 동안 어디에 머물렀나요(35-36절)?
2018.03.27 Just Reading!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레위기 13-16장 (0) | 2018.03.29 |
---|---|
[오늘말씀] 레위기 9-12장 (0) | 2018.03.28 |
[오늘말씀] 레위기 1-4장 (0) | 2018.03.26 |
[오늘말씀] 출애굽기 35-40장 (0) | 2018.03.25 |
[오늘말씀] 출애굽기 30-34장 (0) | 201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