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장] 18장은 오랫동안 치밀하게 준비하고 반역을 일으킨 압살롬이 결국 실패하고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게 되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요단을 건너 마하나임에 도착한 다윗은 드디어 전열을 정비하고 요압을 앞세워 압살롬과의 본격적인 전투를 시작합니다(1-5절). 그 결과 모사 아히도벨을 잃은 압살롬의 군대는 대패하게 되고 압살롬은 도망가다 상수리나무에 걸려 요압과 그의 병사들에게 죽임을 당합니다(6-15절). 다윗의 군사들은 압살롬의 시신을 구덩이에 던지고 그 위에 심히 큰 돌무더기를 쌓습니다. 그 후에 두 전령으로부터 압살롬의 죽음을 들은 다윗은 크게 애통하며 슬퍼합니다(16-33절).
Q1) 압살롬에 대한 다윗의 명령과 요압의 반응은 어떤 차이를 보이나요(10-13절)?
Q2) 압살롬은 어떻게 최후를 맞았고 역사에 어떻게 기억되나요(14-16절, 17-18절)?
[19장] 19장은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환궁하고 뒷수습을 하는 과정이 소개됩니다. 반란을 진압한 요압은 다윗이 압살롬으로 인해 슬픔에 빠진 것을 보고 기운을 회복하여 민심을 수습하도록 권고합니다(1-8절). 이에 이스라엘 온 지파들도 다윗을 맞이하기로 합의하고 유다 지파가 앞장서 길갈로 나아가 다윗을 맞이합니다(9-15절). 한편 다윗이 도망갈 때 그를 조롱하며 저주하였던 시므이는 목숨이 위험하게 되자 다윗에게 사죄하였고 다윗은 그를 용서합니다. 또한 므비보셋은 그의 종 시바의 간계를 고함으로 다윗의 오해를 풉니다(16-30절). 마지막으로 마하나임에서 다윗을 공궤하던 길르앗 사람 바실래와 작별한 다윗은 길갈로 돌아오지만 아직까지 이스라엘과 유다 백성 사이의 깊은 감정은 풀리지 않고 여전히 남아 있었습니다 1(31-43절).
Q1) 압살롬의 죽음을 슬퍼하는 다윗의 모습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나요(2-3절)?
Q2) 승리한 다윗에게 이스라엘 백성은 어떤 반응을 보이나요(9-10절)?
Q3) 다윗을 맞이하는 므비보셋의 모습은 어떠했나요(24절)?
[20장] 20장은 다윗의 예루살렘 귀환을 계기로 나타난 유다와 이스라엘 지파 사이의 불화가 마침내 세바의 난으로 터진 사건을 기록합니다. 환궁한 다윗은 압살롬과 동침한 후궁들을 별실에 가두고 마침 발생한 세바의 반역을 진압하기 위해 아비새를 파견합니다(1-7절). 한편 이 와중에 요압은 자기를 대신하여 다윗의 군장이 된 아마사를 죽입니다(8-13절). 그 후 세바를 추격하여 아벨 성을 포위한 요압은 지혜로운 한 여인의 도움으로 전투를 벌이지 않고 세바를 죽임으로 반란을 진압하고 다윗은 이 사건을 계기로 새로운 행정 조직을 갖춥니다(14-26절).
Q1) 다윗은 아마사에게 명령한 것이 잘 진행되지 않자 누구에게 무엇을 명령하나요(6절)?
Q2) 요압이 아마사를 죽인 후 요압의 부하 중 한 사람은 무슨 말을 하나요(11절)?
Q3) 아벨 성이 처한 위기는 어떤 것이고(15절) 이 위기의 순간에 누가 어떻게 행동하나요(16-19절, 21절, 22절)?
2018.05.11 Just Reading!
- 공궤(供饋, Table, Feed) : 구약의 선지자들은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행위로서 '주린 자에게 식물을 나눠 주는'일 [본문으로]
'성경통독 > 오늘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말씀] 열왕기상 1-3장 (0) | 2018.05.14 |
---|---|
[오늘말씀] 사무엘하 21-24장 (0) | 2018.05.13 |
[오늘말씀] 사무엘하 14-17장 (0) | 2018.05.11 |
[오늘말씀] 사무엘하 10-13장 (0) | 2018.05.10 |
[오늘말씀] 사무엘하 5-9장 (0) | 2018.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