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6.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4장] 4장부터는 교회 생활의 실제적 지침이 난옵니다. 바울은 만물을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되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교회는 어떤 역할을 감당해야 하며 성도들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해 교훈합니다. 지금까지는 하나님의 원대하신 경륜과 예정, 구속, 화해 등의 교리와 함께 교회론에 대해 다루었지만, 4장에서부터는 삶의 구체적인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시켜 나아가야 할 것인지를 부르심에 합당한 삶(1-10절), 그리스도 안에서의 연합(11-16절),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로운 생활(17-24절), 새로운 생활의 법칙(25-32절)을 통해 알려줍니다.Q1) 하나님의 자녀로 부르심을 받은 성도들은 어떻게 행해야 하나요(1-3절)?Q2) 영적 어린아이의 특징은 무엇인가요(14절)?Q3) ..
2024. 12. 5.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Tip) 에베소서는 옥중서신(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중 하나로 바울이 처음 로마에 감금된 서기 60년에서 63년에 기록되었습니다. 그리고 골로새서와 거의 같은 시기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봅니다. 에베소서가 바울의 서신들 중 가장 원숙하고 심오한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고 표현하는 학자도 있는데, 특별히 바울의 다른 서신들과는 달리 변론이나 공박적 내용과 어조가 조금도 등장하지 않습니다. 이는 에베소서의 초점이 논쟁이 아니라 교회의 오묘한 의미와 성도의 고상한 지위 및 그 지위에 합당한 성도의 신앙 생활을 전하는데 있기 때문입니다.[1장] 1장 서두에서 바울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사역을 찬양합니다. 그리고 에베소 교인들에게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받는 교리와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 되심을 증거..
2024. 12. 4.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4장] 4장에서는 상속자 비유를 통해 복음의 우월성을 확실하게 밝힙니다. 4장의 처음과 끝 부분에는 각각 '어린 유산 상속자의 비유'와 아브라함의 아내 '사라와 하갈의 비유'가 등장하는데 이 비유는 모두 율법의 제한성과 믿음(은혜)의 영원성 및 절대성을 상징적으로 설명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이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얻게 되는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해 설명하는 것입니다. 종의 신분과 자유자의 신분을 대조하면서 하나님의 아들로서 자유를 누리게 하신 그리스도의 구속을 강조하고(1-7절), 복음을 떠난 갈라디아 교인들의 어리석음과 처음에 복음을 열렬하게 받아들였던 아름다운 모습을 상기시켜 줍니다(8-20절). 끝으로 이삭과 이스라엘을 비교함으로그리스도 안에 거하는 신자들과 율법을 신뢰하는 ..
2024. 12. 3.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Tip) 갈라디아서의 저자는 바울이며 갈라디아 남부 지역의 여러 교회들에 보내졌습니다. 갈라디아 교회를 미혹하던 율법주의자들의 가르침을 반박하고 오직 구원은 믿음으로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에 쓰여진 편지입니다. 복음이 준 자유를 방종의 기회로 삼는 율법 폐기론자들의 그릇됨을 일깨우고 바울 자신의 사도권을 변호하여 바울이 전한 복음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쓰여진 편지입니다.[1장] 1장에서 바울은 복음의 유일함과 절대성을 밝힘으로 다른 복음을 좇는 갈라디아 교회 성도들의 행위가 배교임을 논증합니다. 복음이 변질되거나 파괴당할 갈라디아 교회의 긴급한 상황 때문에 바울은 갈라디아서의 서두에서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제대로 인사할 겨를도 없이 분명하고 날카로운 어조로 직접적인 경고를 줍니다. 먼저 바울..
2024. 12. 2. 00:00 성경통독/오늘말씀
[10장] 10장부터는 바울의 사도권에 대해 변호가 주요 내용으로 기록됩니다. 바울의 사도권에 대한 해명이 필요한 이유는 13장에서 '이는 그리스도께서 내 안에서 말씀하시는 증거를 너희가 구함'(고후13:3)이라고 솔직하게 밝힙니다. 고린도교회 성도들 모두가 바울을 의심하고 적대시한 것은 아닙니다. 그들은 바울의 사역을 도와주려고 애썼지만 바울의 반대파들은 바울과 교제가 없는 사람들이었고,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충성하지 못하도록 유혹하고자 애쓰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렇기에 바울은 사도권의 참 목적이 성도를 바로 세우는 데 있다고 하며(1-11절), 바울 자신의 자랑과 적대자들의 자랑을 비교함으로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합니다(12-18절).Q1) 바울의 반대자들은 바울을 어떻게 비난하나요(10절)?Q2) 거..